[찬반토론방] 의제: 본 의회는 수능을 폐지할 것이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7면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배화여고 고사장에서 한 수험생이 시험이 시작되기 직전 마음을 가라앉히기 위해 손을 모으고 기도하고 있다. [중앙포토]

구하영 (대전 문정중2)

오랜 기간 이어진 수능 폐지에 대한 논란은 올해 수능을 전후로 더욱 거세졌다. 나는 수능 폐지에 찬성한다.

첫째, 수능은 변별력이 없다고 생각한다. 2008년도부터는 수능이 원점수제에서 등급제로 바뀐다고 한다. 과열경쟁을 막기 위한 대안이라지만 등급제가 되면 수능의 과열경쟁만 감소할 뿐 대학에서는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심층면접이나 논술 등 개별적인 시험을 준비할 수밖에 없다. 고등학생들은 수능.내신.논술까지 삼중고를 겪는다.

둘째, 수능제도는 사교육을 부추긴다. 수능은 현재 고등학교의 내신 공부보다 더 깊고 넓은 것을 알아야 풀 수 있다. 고등학생은 교과내용과 또 다른 수능공부도 해야 하기 때문에, 학습량이 배로 늘어나 학원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고등학생들이 더 자유롭고 효율적인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수능이 폐지되어야 한다.

이정준 (대전 문정중3)

수능 시험 문제로 전국이 떠들썩하다. 부정 행위가 적발된 사례가 늘어나고 난이도는 학생들의 수준에 잘 맞지 않아 변별력이 떨어지고 있다. 그래서 수능을 폐지하자는 의견이 전보다 더 더욱 거세진 듯하다. 하지만 나는 수능을 폐지하자는 것이 멀리 보지 못한 의견이라고 생각된다. 예전 본고사가 시행되던 시절 시험의 부정이 심해서 수학능력시험이라는 제도가 탄생하게 되었다. 하지만 요즘 들어서는 대학마다 여러 선발 절차를 편성해 학생을 선출하는 데 쓰고 있다. 이 기세를 타서 수능을 아예 폐지하는 것이 좋은 선택일까.

먼저, 수능이 없어진다면 대학에서 시험을 만들 수밖에 없다. 이것은 본고사와 다른 점이 없을 것이며 부정부패를 철저히 감시하는 것은 여전히 불가능해 보인다. 또 수능이 많은 사교육을 낳는다는 주장은 좀 더 생각할 필요가 있다. 시험이 전국에서 대학별로 바뀐다고 해도 사교육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총평

구하영 학생은 의견을 질서정연하고 간략하게 잘 제시해 주었다. 하지만 주제에 대한 정의를 내리지 않았다는 게 가장 큰 문제다. 모든 주제가 그렇지만 이 주제는 더더욱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 수능제도는 변화가 가능하고 실제로 변화해 왔기 때문이다.

'수능'은 무엇인가? 지금의 수능인가, 등급제로 바뀐 후의 수능인가, 아니면 이와 관계없이 '국가고사'란 개념 그 자체인가. 주제의 취지를 본다면 아마도 좀 더 총체적인 세 번째 정의가 옳을 것이다. 그래야만 수능시험의 '변화'를 통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므로 '폐지'할 필요는 없다라는 반박을 피할 수 있다. (사실 '폐지' 역시 정의가 필요하다).

이정준 학생은 각 주장에 대한 근거를 잘 분석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적극적인 자세보다는 방어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곧, 상대편에서 수능 대신 본고사 형태로 돌아가자고 주장한다면, 혹은 수능이 사교육을 부추긴다고 한다면 이렇게 답하겠다는 식이다. 이는 독립적인 논거라기보다 '반박'에 가깝다. 물론 토론에서는 반박 역시 중요하나 상대편이 내가 예측한 것과 전혀 다른 논거를 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능을 폐지하면서 본고사가 아니라 제3의 방식, 곧 미국과 같은 여러 독립적인 시험(SAT.ACT 등)을 택하거나 아니면 아예 시험 없이 심층면접.논술 등 다른 방안을 생각해볼 수도 있다.

조슈아 박 한국토론협회장.광운대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