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 연휴 반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북한의 핵실험 선언 이후 정부는 추석 연휴에 비상근무 태세를 유지했다. 특히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외신 보도가 잇따르자 긴장 속에 미국.중국 등과 관련 정보를 교환하면서 북한의 핵실험을 막기 위한 이른바 '예방 외교'를 펼쳤다.

노무현(얼굴) 대통령은 추석 당일인 6일 하루만 청와대를 비웠을 뿐 연휴 내내 청와대에 머물렀다. 노 대통령은 5일 송민순 청와대 안보실장으로부터 상황을 보고받는 자리에서 "상황이 악화될 경우에 대비한 관련국과의 협의를 포함해 국내외 대책을 철저히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추석 당일인 6일에는 고향인 경남 김해 진영읍 봉하마을 선영을 찾아 성묘를 하고, 친형 건평씨 집에 잠시 들른 뒤 곧바로 귀경해 북핵 관련 온라인 보고 등을 받았다. 당초에는 성묘 후 진해의 군 휴양지에서 이틀 정도 머물 예정이었으나 이를 취소했다. 노 대통령은 8일 송민순 청와대 안보정책실장으로부터 북핵 상황 보고를 받은 뒤 하루 뒤인 9일 열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 등을 준비했다. 청와대 안보정책실은 추석 연휴 동안 매일 상황점검회의를 하고 24시간 비상근무했다.

정부 관련 부처도 긴장감 속에 북한의 핵실험 관련 동향을 주시했다. 외교부는 대북 군사 제재를 막기 위해 중국.미국과의 3각 외교에 주력했다. 이를 위해 외교 채널을 총가동시켰다. 반기문 장관은 4일 리자오싱 중국 외교부장,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과 각각 전화통화를 하고 북측의 의도 분석과 당사국의 대응 조치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5일에는 아소 다로 일본 외상과 통화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현 시점에서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 북한의 핵실험 유보를 유도하는 데 우선 순위를 둘 수밖에 없다"며 예방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외교부는 특히 9일 한.일 정상회담, 13일 한.중 정상회담이 북한의 핵실험 저지를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이를 준비하느라 분주했다.

통일부는 8일 이종석 장관 등 간부 전원과 관계 직원들이 정상 출근했다. 이 장관은 "북한에 대해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핵실험 계획 포기와 6자회담 복귀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도 위기조치반을 가동했다. 윤광웅 국방부 장관, 이상희 합참의장 등 군 수뇌부는 연휴를 포기한 채 핵실험 동향과 관련한 정보를 보고받았다.

박승희.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