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DMB' 2007년부터 전국서 시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방송위는 공청회에서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다음달 중 정책을 확정한 뒤 올해 말까지 사업자 선정을 마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전국에서 지상파 DMB를 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그동안은 수도권에서만 방송을 볼 수 있어 '반쪽 서비스'라는 비난을 받았었다.

◆'단일+6개 권역'으로 결정=방송위는 26일 전체회의에서 단일 권역과 6개 권역을 혼용하는 지역 지상파 DMB 방송 권역안을 채택했다. 단일 권역은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이며 6개 권역은 강원권, 대전.충청권, 광주.전라권, 부산.울산.경남권, 대구.경북권, 제주권으로 나뉜다. 방송위는 또 사업자당 TV 채널 2개를 사용하도록 권장하기로 결정했다.

관심은 누가 사업권을 가져가느냐에 집중된다. 지역 지상파 DMB 사업권은 총 13개. 단일 권역에 1개, 6개 권역별로 2개씩 12개 사업자를 선정한다. 국가기간방송인 KBS에 단일 권역 사업권을 주는 데 이견은 없어 보인다.

문제는 권역별로 걸린 2개의 사업권 배분이다. 방송위는 ▶지상파TV 사업자 중심(1안)▶권역별 신규 사업자 도입(2안)▶완전경쟁방식(3안) 등 세 가지 안을 검토하고 있다. 1안대로 하면 지역 지상파 방송사가 2개의 사업권을 나눠 갖게 돼 신규 사업자가 시장에 들어올 수 없다. 2안의 경우 신규 사업자가 1개의 사업권을 배정받는 대신 지역 지상파 방송사가 1개의 사업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한다. 3개 안은 특혜 시비는 없겠지만 시설이나 콘텐트 보유 상황 등에서 밀리는 신규 사업자에게 오히려 불리할 수 있다.

김정수 방송위 뉴미디어부장은 이날 공청회에서 "사업자 선정과 관련한 3개 안 모두 장.단점이 있는 만큼 이를 절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반년 만에 바뀐 정책='단일+6개 권역'안은 방송위가 내놓은 절충안이다. 당초 2기 방송위는 3월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지상파 DMB 방송 권역을 단일 권역으로 묶었다. 규모의 경제를 통한 사업성 확보가 필요하다는 이유였다.

그러나 지역 지상파 방송사들이 이에 반발, 사업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나서는 등 이해 당사자의 입장차로 지역 지상파 DMB 사업은 한 발짝도 앞으로 나가지 못했다. 이탓에 방송을 볼 수 없는 수도권 이외 지역의 시청자들과 단말기 공급 업체들의 볼멘소리가 터져 나왔다. 국회도 사업의 재검토를 요구했다. 결국 3기 방송위가 "정책 재검토" 입장을 밝히고 단일 권역을 철회하면서 반년 만에 정책이 바뀐 것이다.

이와 관련, 20일 열린 토론회에서 안준호 지역민방DMB특별위원회 위원장은 "투자의 효율성이나 합리성을 감안하면 지역 지상파 방송이 사업권을 갖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반면 최성진 서울산업대 교수는 "2기 위원회가 단일 권역을 결정한 건 상당히 고심한 결과"라며 "사업자 이익을 위해 6개 권역으로 나눠야 하나"라고 지적했다.

◆"수도권보다 어려움 더 많을 것"=방송위의 정책 수정으로 지역 지상파 DMB 사업을 위한 물꼬는 텄다. 하지만 갈 길은 멀다.

석원혁 MBC 뉴미디어정책팀장은 같은 토론회에서 "수도권 지상파 DMB도 수익성 대비 지출이 너무 크다"며 "지역 지상파 DMB가 사업성과 지역성을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가 문제"라고 밝혔다. 게다가 시장규모가 작고 재정자립도 등에서 불리한 강원이나 제주 권역의 경우 사업자의 참여가 저조해 서비스 자체가 지연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하현옥 기자

◆DMB(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동 중에도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TV.라디오 등 고품질의 방송을 즐길 수 있어 '테이크 아웃TV''내 손안의 TV'로 불린다. 전송 방식에 따라 위성과 지상파 DMB로 나뉜다. 지상파 DMB는 지상 송출소와 중계소를 통하며 방송 권역별로 나눠 송출한다. 서울과 수도권에는 지난해 12월 서비스가 시작됐다. 지난해 5월 상용화된 위성 DMB는 TU미디어가 단독 사업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