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의 날」만들어 민족 뜻 모으자"|남북 불교교류추진위 당국에 "통일노력 촉구"성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남북한 정부당국이 평화적 교류를 저해할 수 있는 법률·제도의 개선에 적극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종교계에서 나오고 있다.
남북불교교류추진 특별위원회(위원장 송월주스님)가 2일 성명을 통해 남북한정부당국에 『남북교류와 통일을 저해하는 모든 법률들을 전향적으로 개폐하라』고 요구한 것도 그같은 움직임의 하나다.
종교계는 지난해 천주교 정의구현 전국사제단이 국가보안법의 철페를 주장한 일이 있었고 불교계도 문규현신부 입북사건 같은 일은 없었지만 여러 번 남북 불자간의 교류를 추진하면서 법적·제도적 장벽이 높음을 절감해 왔다.
특히 최근 불교계대표로 법타스님을 북한에 파견하여 법주사 청동미륵불상 회향식에 북한불자들을 초청하려했다가 북경에서 북한당국으로부터 『팀스피리트훈련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남북불교교류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북한측의 답변을 들은 불교계는 종교인으로서 큰 좌절을 느꼈다.
이같은 일은 기독교계도 마찬가지여서 지난달 27일 열렸던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총회에 북한대표를 초청하려다 세계교회협의회대표를 통해 북한으로부터 유사한 반응을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불교교류추진위원회가 2일 성명에서 『우리 불교인들은 민족공동체로서의 통일정부를 설치할 때까지 비폭력적이며 중도화합적인 통일노력을 그치지 않을 것임을 천명한다』고 밝힌 것은 그래서 평화적이고 순수한 종교인의 통일노력을 억압하지 말라는 남북한 정부에 대한 강력한 요구가 된다.
이날 성명서는 『조국통일의 창구인 정부는 40여년이 지나도록 통일을 외치면서도 과거 불행했던 동족상잔의 고통만 상기시키며 정권유지에만 급급한 감이 없지 않다』고 우리정부에 경고하면서 북한정권에 대해서도 『해외동포나 북한주민에게 지난날의 전쟁이 빚은 아픈 상처만 홍보하며 왕조같은 정권유지에만 급급할 뿐 역시 통일에의 열의가 없다』고 통박하고 있다.
이날 성명은 남북한 정부당국에 민족의 통일의지를 결집하기 위해 「통일의 날」을 제정하여 이날을 통일촉구의 날로 삼자고 제의했다. 남과 북의 형제들이 진정한 통일의지를 표명할 수 있는 날을 만들자는 것이다.
불교계의 이같은 남북한 정부당국에 대한 통일노력 촉구는 이미 여러번의 교류촉진과정에서 남북한 정부당국의 태도에 의해 좌절을 겪었던 다른 종교계도 공감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교계의 남북한 당국에 대한 통일노력촉구 움직임은 불교계의 결의로 더 확대되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송월주스님은 이날 종교인으로서 남북교류를 더 활발히 추진하기 위해 통일특위소속 위원 30명이 북한을 방문하는 일을 강력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불교에서 단오날 여러가지행사를 하고 있고 북한에서도 이날을 중요 민속일로 정하고 있으므로 민족공동체의식을 살려낼 수 있는 단오날 남북불자들이 만나자는 뜻이다.
남북불교교류추진특위는 또 앞으로 불상·불교서적·포교자료·범종·가사·장삼등을 북한 불교계에 전하고 외금강 신계사등 전통사찰복원불사를 지원하는등의 교류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히고 있다.
또 통일을 위한 불교정신에 입각한 이념정립과 실천을 위해 학술세미나도 열 계획이다.

<임재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