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만스러운 열린우리 "청문회서 따지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김신일 교육부총리 후보자가 피력한 평준화 반대, 학교 자율성 확대 등의 교육철학을 놓고 열린우리당 일각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평준화 정책을 고수하는 노무현 정부의 정책 기조와 상반되는 시각을 갖고 있지 않으냐는 것이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의 열린우리당 정봉주 의원은 4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김 후보자는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여당의 지지가 필요한데 (청와대 인선 과정에서) 여당 교육위 위원들과의 협의가 전혀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김 후보자가 '대학에 무한 자율권을 줘야 한다'고 주장하는 부분에 대해선 반드시 검증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위 소속의 같은 당 최재성 의원 역시 "수월성 교육(우수 학생 양성 교육)을 강조하고 자립형 사립고 확대를 주장한다면 결국 (참여정부의) 평준화 정책과는 생각이 다를 수 있다"며 "청문회에서 아주 꼼꼼하게 따질 사안"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자의 교육철학에 대해 의구심이 든다"며 "(그의 소신이) 참여정부 교육정책의 보완적 요소로 작용할지, 대립적 요소로 작용할지 판단이 서지 않는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하지만 당내 일부 교육위원의 의구심에도 불구하고 열린우리당 지도부는 김 후보자에 대한 반대 입장은 보이지 않고 있다. 김병준 교육부총리 인선 때처럼 다시 청와대와 대립 구도로 가기엔 명분도 약하고, 당이 짊어질 부담도 크다는 판단 때문이다.

반면 한나라당 나경원 대변인은 "김 후보자의 교육철학과 현 정권의 교육정책의 차이에 주목한다"며 "국가주의적 교육 통제정책을 버리고 학교의 자율성을 확대한다는 평소 소신을 지킬 수 있을지 지켜보겠다"고 논평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김 후보자는 참여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이해가 깊은 분으로 추천됐고 본인도 부총리 직을 수락한 만큼 기존의 교육정책과 생각이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김 후보자에 대한 국회의 인사청문회는 15일 열린다.

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