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위·직장협 1억 챙겨 '말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경주세계문화엑스포를 주관하는 엑스포 조직위원회와 경북도 직장협의회(직협)가 엑스포 입장 예매권을 팔고 수수료를 받아 논란이 일고 있다.

도민의 세금으로 만든 행사에서 생긴 수수료를 조직위와 직협이 챙길 수 있느냐는 반발이다.

엑스포 조직위와 도 직협은 "지금까지 엑스포 입장권을 예매해 수수료로 조직위는 3천만원 정도, 직협은 7천3백만원을 판매 대행기관인 대구은행과 농협에서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조직위는 이 돈을 직원의 사기 진작용으로, 직협은 도 산하 44개 실.과.사업소 등에 4천1백만원을 격려금 명목으로 지급하고 나머지는 보관중이다.

조직위는 당초 대구은행을 예매권 총괄 판매 대행기관으로 지정, 판매액의 4%를 수수료로 지급키로 했다. 대구은행은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 농협과 국민은행, 시.도의 새마을금고, 경북체신청 등과 2차로 판매 대행계약을 맺었다. 2차 판매 대행자는 수수료의 3%를 받도록 돼 있다.

문제는 자신들이 앞장서 예매권을 팔아야 할 조직위가 2차 판매기관 자격으로 대구은행과 별도 약정을 맺었다는 것이다. 직협도 농협 도출장소와 약정을 맺고 예매권을 판매했다.

도 직협 인터넷 홈페이지에는 "개혁에 앞장서야 할 직협이 (예매권을) 시.군에 강매하다시피 하고 수익금을 갈라먹는 일을 주동하다니('경북도민'). 강매당하고 묵힌 티켓이 많은데 생각할수록 화난다('면서기')"라는 글이 오르는 등 비난 여론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조직위는"예매권 판매를 독려하기 위해 2차 판매 대행계약을 맺었다"고 말했다. 직협 측은 "개인 주머니를 털어가며 고생한 회원에게 보상 차원에서 수수료를 배분키로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조직위는 지금까지 86만3천여장(61억4천여만원)의 입장권을 예매했으며 이 가운데 조직위 직원이 12만1천여장(10억8백여만원), 직협은 30만6천여장(23억2천여만원)을 팔았다.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