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와 친해지는 게 ˝지름길˝|초중고 컴퓨터교육 추진계획과 문제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본격적인 컴퓨터교육 시대가 열렸다.
문교부의 제5차 교육과정개편에 따라 컴퓨터교육이 올해부터 초·중·고교 정규과모의 일부 또는 독립교과로 채택됨에 따라 일부 사회교육기관·사설학원등 주로 학교 담장밖에서 이뤄지던 컴퓨터교육은 학교안에서도 활발해지게 됐다.
이에 따라 학생 및 학부모들의 관심도 무척 높아져『학교에서 어떤 것을 배우게 되는가』 『미리 배워두어야 하는가』 『컴퓨터를 꼭 사줘야 하는가』등 궁금한 점도 많아지고 있다.
학교 컴퓨터교육의 내용과 관련작업추진과정, 그리고 이에 따른 문제점등에 관해 알아본다.
◇교육내용=문교부는 미래 정보화사회를 맞아 전국민의 컴퓨터문맹 탈피를 중요한 과제로 설정, 우선적으로 학생들에게 컴퓨터에 대한 친밀감을 심어주고 컴퓨터의 기초소양을 함양시켜 정보화사회로의 진입을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학교의 컴퓨터교육은 컴퓨터 자체를 알기 위한 학습과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이라는 두가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개편된 교육과정에 따르면 국민학교는 4, 5, 6학년에 한해 실과시간에 컴퓨터를 배우게 되며 중학교는 1, 2학년때 주당 3∼4시간씩 배우는 기술(남)·가정(여)과목에 컴퓨터에 관한 대단원이 신설됐다.
고교의 경우 기술과목외에 실업선택과목으로 「정보산업」이 채택돼 농업·공업·수산업등과 함께 독립교과로 배울 수 있게 됐다.
교육내용은 국교의 경우 컴퓨터와 실생활과의 관계, 중학교의 경우 컴퓨터의 원리·구조·작동방법, 고교의 경우 컴퓨터의 실제이용 및 응용방법등에 주안점이 두어겼다.
국교에서 배우게되는 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4학년에서는 「용돈쓰기」단원중 저축과 컴퓨터의 연관관계에 대해 2쪽가량 간략히 서술되어 있는데 불과하나 5학년에서는 「일과컴퓨터」 단원(16쪽)에서 컴퓨터의 기능, 기기의 구성·작동법, 이용분야등이 상세히 취급되어 있다.
6학년에서는 「컴퓨터 다루기」단원(20쪽)을 통해 프로그램의 개념설명, 키보드 누르기, 베이식 언어, 순서도, 입출력절차등이 상당히 구체적으로 다뤄지고 있다.
컴퓨터교육이 학교에서 정식으로 실시됨에 따라 겨울방학을 이용해 컴퓨터를 배우는 학생들이 늘어났으며 학부모들의 관심도 커졌다.
서울삼성동 S컴퓨터학원 김태형원장(35)은 『초·중·고 수강생이 예년에 비해 l·5배가량 늘어난 1백여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문교부의 컴퓨터 교육담당 박노원연구사는 『자기 컴퓨터를 갖거나 미리 배워두는 것이 바람직스럽기는 하나 학교수업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이라면 꼭 그럴 필요는 없다』며 『교육목표가 전문기능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에 대한 친숙감 형성, 기초소양 배양이기 때문에 그리 어렵지 않다』고 말했다.
◇장비·교사확보=문교부는 학교 컴퓨터교육의 시행에 따라 컴퓨터보급, 교사연수,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등 관련작업을 추진해나가고 있다.
문교부는 우선 1천여억원을 들여 96년까지 전국9천8백여개교에 26만3천여대의 컴퓨터를 보급하게 되는데 이중 국민학교에 돌아갈 15만여대는 한국전기통신공사의 지원을 받는다.
컴퓨터 관련학과 전공교사가 거의 없는 현실 때문에 국교담임교사와 중·고교관련교과목 교사를 대상으로 96년까지 8만여명에 대한 컴퓨터교육연수(1인당 60시간이상)를 진행중이다. 지금까지 연수를 받은 교사는 4만여명.
문교부는 또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CAI)이 학습능률 향상과 장차 사회에서의 컴퓨터 활용능력 배양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이에 필요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문제점=아직 인력·장비가 충분히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올해 봄부터 바로 컴퓨터교육에 들어가는 것이 아무래도 무리가 아니냐는 지적이 많다.
서울등 대도시 학교의 경우에도 아직 컴퓨터 기준보유대수 31대를 보유하지 못한 학교가 많으며 농어촌·도서지역 학교의 경우 최우선적으로 보급된다하나 전압자동조정기(AVR) 등 부대장비를 대부분 갖추지 못하고 있다.
또 필요교원의 절반 정도밖에 연수를 받지 못했으며 대부분이 컴퓨터 문외한이었던 그들이 불과 60시간의 교육만으로 내실있는 교육을 실시할 수 있겠느냐는 우려도 있다.
또 하나의 문제점은 학교 컴퓨터교육은 컴퓨터자체를 알려고 하는 교육보다 컴퓨터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를 배우는 교육이 되어야 하나 제대로 된 소프트웨어가 거의 없어 이 같은 교육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앞서 언급한 한국교육개발원·과학기술처·체신부등이 학습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속속 나서고 있으나 교육전문가의 참여가 미미하고 부처간 협조도 잘 이뤄지지 않아 중복투자의 우려도 없지 않다는 것이다.

<김동균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