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에게 얕은 물도 어린이에겐 위험!

중앙일보

입력

즐거운 피서. 하지만 대비하지 않으면 사고는 불식간에 찾아온다. 물놀이가 많은 계절이다.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계곡이나 바다를 찾았다면 긴장의 끈을 놓지 말자. 물놀이 안전 수칙을 소개한다.

■물놀이 안전 수칙

수영에 앞서 반드시 준비운동을 하고. 물에 처음 들어가기 전에는 심장에서 먼 부분(다리·팔·얼굴·가슴 등의 순서)부터 물을 적신 후 들어간다. 수영 도중 몸에 소름이 돋고 피부가 당겨질 때에는 몸을 따뜻하게 감싸고 휴식을 취한다. 물의 깊이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갑자기 깊어지는 곳을 특히 조심해야 한다.
구조 경험이 없는 사람은 무모한 행동을 삼가고.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하면 주위에 소리쳐 알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수영에 자신이 있더라도 가급적 주위의 물건들(장대·튜브·스티로폼 등)을 이용해 안전하게 구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을 때. 몹시 배가 고플 때. 식사 직후에는 수영을 하지 않는다. 자신의 수영 능력을 과신하여 무리한 행동을 하지 말고. 장시간 계속 수영하는 것도 금물이다. 호수나 강에서는 혼자 수영하는 것도 위험하다.

■어린이의 물놀이 활동 시 유의 사항

어른들에게 얕은 물이라고 방심하는 곳이 가장 위험할 수 있다. 그리고 어린이는 거북이·오리 등 각종 동물 모양을 하고 보행기처럼 다리를 끼우는 방식의 튜브를 사용하는데 뒤집힐 경우 아이 스스로 빠져나오지 못할 수 있다. 보호자와 물안에서 함께하는 활동 안에서만 안전이 보장될 수 있으며. 어린이는 순간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익사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때문에 인지 능력 및 신체 적응력이 떨어지는 유아 및 어린이들은 보호자의 손을 뻗어 즉각 구조가 가능한 위치에서 감독해야 한다. 활동 반경이 넓어지는 만 6~9세 이하 어린이는 보호자의 통제권을 벗어나려는 경향을 보이므로 사전 안전 교육 및 주의를 주어 통제하는 것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박상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