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제모(다모증)

중앙일보

입력

이제는 계절에 관계없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 신체를 노출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짧은 스커트, 시원한 반바지로 몸매를 뽐내는 것은 누구나 가지는 욕망, 특히 몸매에 자신이 있는 여성이라면 늘씬한 각선미를 뽐내고 싶은 것은 당연한 일인데 이런 욕망을 방해하는 존재가 있으니, 바로 보기 싫게 나있는 털들이다.

잦은 면도로 부작용 초래

많은 여성들이 종아리의 털을 면도하기 바쁘지만 면도를 하면 할수록 다리털은 오히려 굵어지고 더 많아 보인다는데 문제가 있다. 왁스, 초음파 등의 방법도 일시적인 효과뿐이다.

털이 많은 여성들은 봄이 되면 다리털 면도를 시작한다. 물론 겨드랑이 털을 면도하는 것은 기본적인 에티켓, 그러나 면도를 한 후에는 털이 더 굵어지므로 다모증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잦은 면도에 따른 상처, 모낭염, 이로 인한 색소침착과 같은 부작용으로 고생하는 사람도 많다.

원치 않는 털이 많이 나있어 대인관계에 자신감을 잃어버리는 원인이 되는 경우가 훨씬 많다. 따라서 최근에는 감추고 싶은 털을 효과적으로 없애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해서 영구 제모제도 놀랄 만큼 발전하고 있다.

가장 많이 고민하는 부위는 종아리, 여름이 되어도 반바지나 짧은치마를 입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는 겨드랑이, 팔, 코밑, 이마, 비키니라인, 허벅지 등의 지저분한 털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들도 있다.

영구제모란 ?

최근에는 모근까지 파괴하여 털을 없애는 영구제모술이 다모증으로 고민하는 여성들에게 희망을 안겨주고 있다.

영구제모란 털을 제거하고 2년이 지나도 새로운 털이 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제모 후 1년 정도는 털이 안 나다가 다시 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영구제모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제모 전용 레이저로 빠른 시간에 원치 않는 털을 영원히 뿌리 뽑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제모레이저의 종류도 여러 가지여서 자칫 기종을 잘못 선택하면 제모의 효과가 떨어지거나, 색소침착, 흉터와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모발은 각각 성장주기(생장기⇒퇴행기⇒휴지기)가 있고 그 중 생장기 털만이 모낭과 털이 연결되어 있어 레이저 치료에 의한 영구제모가 된다.

그러므로 다음 치료시기까지 한달 후면 첫 치료 당시에 휴지기였던 털이 다시 자라 나와 레이저 치료를 기다리게 되므로 치료 효과가 없다고 미리 낙담할 필요는 없다.

거기에 신체 부위마다 각각의 성장주기에 따른 모발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전체 치료 횟수는 평균 3-5회 정도가 된다. 한번의 레이저 시술로 약 50%정도의 털만 남는데, 남은 털은 원래보다 현저히 가늘게 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모근이 완전히 파괴되지 않고 손상을 받아 털의 굵기가 얇아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