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의 개념

중앙일보

입력

감기는 비인두염이라고도 하는데 주로 바이러스가 원인이며 코와 목구명 근처인 인두에 염증이 생기는 병이다.

감기는 어린이의 경우 1년에 6-12회, 성인은 6회, 노인은 2-3회정도 이환율을 나타 낸다는 보고가 있으며, 계절적으로 추운 겨울에는 전 인구의 거의 반수가 감기에 감염 되고, 여름에는 약20% 가까이 감염된다.

감기는 대부분 바이러스가 원인이지만 바이러스의 침입을 받는다고 모두 감기에 걸리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그 발병과정에는 바이러스 감염뿐 아니라 침범한 바이러스에 대한 환자 자신의 개체 방어력이나 급격한 체온변동, 체력소모 등이 관여하게 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감기 바이러스는 약 100여 종으로, 그 중 리노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코감기가 가장 흔하다.

미세한 크기의 조직체인 리노바이러스는 바이러스의 재생산을 위해 코 점막세포에 침입하여 그 기능을 파괴시킨다 바이러스들은 본질적으로 유전적 변형이 가능하며, 현재 약 250개의리노바이러스 변형 군집체가 있다.

그것은 당신이 약 250종류의 감기 변종들에 감염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현재 면역계는 이러한 변종들 중 몇 개만의 치료법을 발견하였다. - 하지만, 감기의 변종에 감염되었더라도, 면역계는 그것에 대한 항체들를 개발하고 다시는 같은 변종에 감염되지 않는다. - 그런다 하더라도 감기에는 많은 변종이 존재한다.

이 말은 하나의 감염에 대한 항체가 생겼더라도 나머지 249개의 감기변종 감염가능성에 노출되어 있어서 당신이 70세 때까지 살 경우, 한해 평균 3번 이상 감기에 감염된다는 이야기 이다.

감기의 전염 경로는 대부분 호흡기를 통하며, 환자의 기도 분비물 등이 대기 중에 퍼져 있다가 감염되거나 손 등의 직접 접촉에 의해서도 전염된다.

이들 rhinovirus는 감기환자의 기침 등을 통해 공기로 전염되는 것보다 감기환자의 손을 통해 전염되는 경우가 훨씬 많다.

즉 감기환자의 콧물 속에 포함된 rhinovirus가 환자의 손을 통해 감기환자 주변 여기저기에 산재하게 되고 이를 접촉한 사람이 다시 무심코 자신의 코를 만지게 될 때 감염된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