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견의 치료

중앙일보

입력

오십견은 근골격성 통증의 하나로서 어깨부위의 통증이 심하며 오십세 전후에 잘 오기 때문에 그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의학적으로는 동결견이라고 불리웁니다. 나이가 들면서 관절의 관절액이 적어지거나 관절주위의 연부조직의 석화화, 관절을 싸고 있는 점액낭의 염증, 근육이 뼈에 붙는 부위의 염증등이 그 원인입니다. 이러한 환자의 경우 통증치료실에서는 통증이 있는 해당부위에 국소마취제나 스테로이드를 직접 주사하여 주고 해당부위의 신경을 차단함으로써 치료하며 물리치료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환자가 목, 어깨, 팔에 통증을 호소하면 몇가지 가능한 질환을 생각할 수 있다.

목과 상지는 통증에 예민한 조직인 신경, 혈관, 근육, 인대와 연골로 구성되어 있고 통증을 일으키는 경우는 신경성 통증, 근골격성 통증, 연부조직성 통증및 자율신경이 원인이 되어 오는 통증등이 있다.

이중에서 오십견은 근골격성 통증의 하나로서 어께부위의 통증이 와서 움직이지도 못하고 세수를 하거나 머리를 감기도 불편하며 심한 경우 자다가 통증 때문에 잠을 깨기도 한다.

대개 오십세 전후에 잘 온다고 하여 오십견이라 불리는데 의학적으로는 동결견이라 한다. 이는 어깨가 마치 얼어붙은 것처럼 굳어져서 움직이지 못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나이가 들면서 관절내에 들어있는 윤활유 역할을 하는 관절액이 적어져서 움직일 때마다 무리가 오기도 하며 관절주변의 연부조직이 석화화 해서 오는 석화화 건염, 관절을 싸고 있는 점약낭의 염증, 근육이 뼈에 붙는 부위의 염증등 여러가지 원인 때문에 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여러 원인에 의해서 어깨에 통증이 오면 아파서 움직이지 않게 되고 좀더 진행하면 유착성 낭염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오십견의 치료는 가장 중요한 것이 예방이다. 움직이지 않으면 병이 생기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여성의 경우 갱년기가 지나면서 이러한 현상이 잘 나타나는데 이는 신체의 홀몬변화와 함께 근육위축이나 운동부족이 원인이다.

어깨부위가 아프면서 운동에 지장이 오면 이와같이 빨리 운동을 하면서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대부분은 진통제나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면서 물리치료를 하게 되는데 약을 오래 투여하다 보면 부작용이 생겨서 위나 장관을 약하게 만들어 약을 더이상 투여하지 못하게 될 수 있으며 물리치료도 통증때문에 제대로 할 수 없어서 치료가 지연되게 된다.

이러한 환자가 통증치료실에 오면 통증이 있는 해당부위에 국소마취제나 스테로이드를 직접 주사하여 주고 해당부위의 신경차단도 해주면 대부분의 환자들이 그 즉시 통증이 없어지면서 시원하게 팔을 움직일수 있게 된다. 이렇게 주사를 하여 아프지 않게 한 뒤에 물리치료를 하면 훨씬 효과도 좋고 빨리 낫게 된다. 약물을 복용하여 아픈부위에 가게 하려면 많은 양을 투여하여 전신으로 흡수된 뒤에 그 일부가 아픈 부위에 가야 하므로 필요이상으로 많은 양을 투여해야 하나 주사로 투여할 경우엔 해당부위에 직접 투여하므로 약의 용량도 적게 투여하면서 아픈 부위에 직접 흡수되므로 효과도 더 좋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역시 환자의 도움이 없이 주사로만 치료하기는 어렵다. 즉, 운동을 열심히 해주어야 치료효과가 좋은데 몇가지 간단한 운동법을 소개하면 가벼운 아령이나 전기 다리미등 약간의 무게가 나가는 물건을 들고서 한쪽팔을 식탁의자에 의지한체 상하로 팔을 흔들고 좌우로 흔들고 또 손목에서 빙글빙글 돌리는 운동을 수시로 한다. 좀더 나아진 다음에는 벽을 미는 동작을 하고 벽에 손을 대고 차차 높은 곳으로 올려보는 것이다.

이 이외에도 어깨를 돌린다든지 스트레칭 체조를 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