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열교정

중앙일보

입력

최근 철망으로 이를 얽어놓은 교정장치를 끼고 있는 사람을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들쑥날쑥한 이의 배열을 고르게 만드는 치열교정장치의 일종으로 이제 교정치과분야는 기술발달과 시술확대로 현재 가장 대중적인 치과치료법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입니다.

교정분야의 치료대상은 이가 가지런하지 못해 보기 흉한 사람으로 치열이 고르지 못한 사람을 의미합니다.여기엔 윗니 돌출형, 아래턱 돌출형, 들쑥날쑥형, 이 사이가 벌어져 있는 개교형, 듬성듬성형등 다양한 유형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대개 발음장애와 잇몸병을 쉽게 앓으며 어린이의 경우 심리적 발달에 장애 또한 되므로 가능하면 일찍 치료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는 장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한달에 한번 정도 치과를 찾으면 되고 1단계가 끝나면 다음 단계까지 3-6개월에 한번 정도 방문하면 됩니다. 장치를 끼우고 3일-1주일 정도는 치아가 움직이기 시작하므로 불쾌한 증상이나 씹을 때 통증이 생기며 통증정도는 개인에 따라 다릅니다. 교정을 위해서는 얼굴과 치아의 사진, 모형을 위한 인상, 악골 사진, 머리 사진, 치아부분 사진등을 찍어야 하며 이밖에도 치료의 시기와 기간, 목표, 비용에 대한 상담을 해야 합니다. 턱뼈 발육차가 심한 경우나 치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경우엔 될수록 빠른 시기에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기간도 길 수 있습니다.
성장이 끝난 성인은 교정치료만으로는 불가능해 수술을 병행해야하며, 뼈가 굳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치아이동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또 치주조직의 노화현상이나 턱관절과의 조화를 고려해야 하는 등 나름대로 소아 교정과는 다른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