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 70주년 스페인 과거사 청산 진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7면

내전 발발 70주년을 맞은 스페인이 과거사 청산을 둘러싸고 진통을 겪고 있다. 호세 로드리게스 사파테로 총리가 이끄는 좌파 사회당 정부가 당시 반란군을 이끌었던 프란시스코 프랑코 장군을 상징하는 기념물을 제거하는 입법안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지 일간지 엘 파이스는 과거사 청산 관련 법안이 28일 각료회의에서 다뤄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프랑코 지지세력인 우파는 "국민 화합을 깨뜨리는 행위"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스페인은 1936년부터 3년간 인민전선 정부를 지지하는 좌파 정부와 군부의 프랑코 장군이 이끄는 우파가 무력충돌을 했다. 이 내전 와중에 민간인을 포함해 약 100만 명(추정)이 목숨을 잃었다. 그 후 정권을 잡은 독재자 프랑코는 36년간 철권통치로 반체제 인사들을 무자비하게 탄압했다.

75년 프랑코가 사망한 뒤 스페인은 민주주의를 회복했지만 과거사 청산은 미뤄졌다. 좌우파 모두 '망각 협정'이라는 사회적 합의로 프랑코 시대의 불행했던 과거사를 애써 외면해 왔다. 그러나 사파테로 총리의 사회당 정권이 들어선 2004년부터 과거사에 대한 진상규명 작업이 활발해졌다.

사회당 정부가 과거사 청산을 위해 구성한 특별위원회에서 마련한 과거 청산 관련 법에 따르면 각급 지방정부는 프랑코 장군의 이름이나 프랑코 정부에서 따온 거리나 광장 명칭을 바꾸고, 프랑코의 동상을 철거토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베를린=유권하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