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지자체, 초중생 보호 나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일본 니가타(新潟)현의 한 지방자치단체가 '위성위치확인 시스템'(GPS)을 이용해 지역 내 초.중학생들의 신변안전을 확보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2일 보도했다.

니가타현 무라카미(村上)시는 최근 학교에서 귀가하던 여중 3년생이 한 남성에게 자동차로 납치당했다가 11일 만에 귀가한 사건이 발생하자 초.중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이 같은 방침을 정했다. 치매에 걸려 가출해 길을 잃어버리는 노인을 보호하기 위해 GPS시스템을 이용하는 가정은 있지만 지방자치단체가 어린이.청소년 보호를 위해 이 시스템을 단체로 도입하는 것은 일본에서 처음이다.

시당국은 각 가정이 민간 경비회사들의 GPS시스템에 가입하도록 권유하고 비용 일부를 시 예산으로 보조할 계획이다. 경비회사들은 약 5천엔(약 5만원)을 가입비로 받고 있다. 시는 우선 가입료 가운데 3백엔을 지원하고, 경비회사가 월 이용료를 최대 30%까지 깎아주도록 협의하고 있다.

경비회사들도 대량 가입할 것으로 기대, 적극 호응하고 있다. 시는 또 학생들이 지니고 다니면서 위기시 사용할 수 있는 방범벨(5백엔)을 구입해도 3백엔을 보조하기로 했다. 시는 곧 학교별로 학부모 설명회를 개최해 의견을 모을 계획이다. 시내 2천7백여명의 초.중학생 가운데 3분의2 이상이 GPS시스템이나 방범벨을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GPS시스템은 발신기에서 쏘아진 전파를 인공위성이 받아 위치확인 시스템에 보내는 방식으로 발신기 소지자의 위치를 확인한다. 가정의 컴퓨터로도 쉽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위험할 경우 발신기 소지자가 경비회사와 가정에 위험신호를 보낼 수 있다. 전파 소통이 잘 되는 장소의 경우 불과 5~10m의 오차 범위 내에서 소지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다.

도쿄=오대영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