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인정 않는다-65.9%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와 노조간에 「징계」와 「사수」로 맞서고 있는 전교조에 대해 일반 국민들은 65.9%가 설립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으로 가입 교사의 요구만 선별 수용하거나 현행법에 따라 엄격히 대응하는 해결 방법을 지지하고 있다. <관계 기사 5면>
또 현재 극한으로 치닫고 있는 당국의 강경 대응과 전교조의 장외 투쟁에 대해 국민들은 상당수가 「지나치다」 (각각 48.1%, 51.7%)고 지적, 쌍방의 자제와 보다 합리적이고 발전적인 해결책을 촉구했다.
이와 함께 중요한 시국 문제의 하나인 문익환 목사를 비롯, 서경원 의원 임수경 양·문규현 신부 등의 잇따른 방북 사건은 남북의 통일 논의를 진전시키기 보다는 오히려 위축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우려하는 사람이 많은 것 (58.1%)으로 드러났다.
중앙일보사가 부실 여론 조사 기관인 중앙 SVP를 통해 지난달 31일과 지난 1일 전국 20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 여론 조사에 따르면 교원 노조 문제 해결 방안으로 ▲설립 인정 (20.1%) ▲설립은 인정하지 않되 가입 교사들의 요구는 선별 수용 (46.5%) ▲설립을 인정하지 않는 현행법에 따라 엄격 대응 (19.4%)으로 나타나 교조 설립 반대 의견이 65.9%나 됐다.
교원 노조의 설립 원칙 문제에는 ▲교사는 노동자가 아니고 ▲학생들의 수업·진학에 지장을 주며 ▲재야 세력과 제휴 활동을 벌일 것을 우려, 47.7%가 반대 의견을 보여 찬성 (31.6%) 하는 사람보다 16.1%가 많았다.
또 구속·직위 해제·파면 등 강경으로 치닫고 있는 문교 당국의 대응에 대해서는 48.1%가 「지나치다」고 생각한 반면 단식 투쟁이 서명 운동·징계 위원회 기피 등으로 맞서고 있는 교원 노조의 대응은 51.7%가 「지나치다」고 응답, 교원 노조를 둘러싼 문교부와 교사들의 문제 해결 방식에 모두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우리 교육계의 문제점으로는 ▲입시 위주 교육 (26%) ▲학부모의 지나친 교육열 (18.1%) ▲사학 재단의 부정 부패 (12.8%) ▲과밀 학급·낙후 시설 등 교육 환경 미비 (12.3%) ▲관료주의적 학교 운영 (10.3%) 순으로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