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3사 애프터서비스 "딴전" |소비자 연맹에 올 6월말까지 총 2백71건 피해신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자동차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출고된 차량의 결함을 호소하는 고발사례가 크게 늘고 있으나 이에 따른 사후 서비스는 뒷전으로 밀려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한국 소비자 연맹이 19일 프레스 센터에서 가진「자동차 소비자, 정책·서비스에 불만 있다」는 세미나에서 밝혀졌다.
이 연맹의 정광모 회장은 올해 6월까지 접수된 자동차 고발사례는 총 2백7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백46.5% 증가했으며 그 중 차량결함 요인이 60.5%라고 밝혔다.
또 차량결함 중 보증기간 중에 있는 새 차의 결함이 63%를 차지해 차량 신청에 밀려 일부 불량 자동차가 생산되고 있음이 반증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새 차로의 교환을 희망하는 소비자의 요구(49%)는 생산업체에 의해 번번이 묵살 당하기 일쑤며 당연히 뒤따라야 할 애프터서비스도 자동차 정비공장이 초만원을 이뤄 시간 낭비가 클 뿐더러 부품공급의 지연과 불친절로 불만을 부채질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이 밖의 문제로는 ▲정비공의 기술 미숙으로 수리비가 많이 들고▲책임보증이 끝나 가는 차량에 대한 정비소홀▲보증수리와 일반수리의 한계 불분명으로 인한 논란▲담당 부서간의 책임 전가 등이 거론됐다.
한국자동차 보험 박내호 실장(안전관리실)은『서울의 경우 총 60만4천대의 승용차가 운행되고 있으나 현대·대우·기아 등 자동차 제작회사의 직영 정비공장은 불과 8개 밖에 없어 현대 정비센터의 경우 차를 주차하는 데만 ⑾∼50분, 수리 받기 위한 작업대기에만 3∼4시간 걸려 온종일을 허비하기 십상』이라고 말했다.
서울시 자동차 정비조합 이차갑 이사장은『자동차 메이커들이 보증수리만 하는 곳이 있으면 큰 문제가 없는데 직영 정비공장이 영리성 때문에 일반 사고차량의 수리도 함께 하고 있어 새 차를 살 때 이미 애프터서비스에 관한 비용을 지불한 소비자만 골탕을 먹고 있다』고 지적하면서『이들 메이커들이 자동차 생산과 판매, 정비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독점하는데서 오는 폐단』이라고 비난했다.
또 직영 정비공장 외에 지정 정비공장이 있기는 하나 이들 공장에 새 부품이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며 기술에 대한 사전 정보를 주지 않고 일부 지정 정비공장은 달갑지 않은 일을 한다는 듯한 태도를 보여 소비자들이 직영 서비스센터로 몰리게 된다는 것.
소비자의 입장을 대변한 원병희 씨(문화방송 심의실)는『80% 이상의 소비자가 직영 정비공장에 몰리는 것은 일반 정비업소의 가격이 들쭉날쭉한데다 기술의 신뢰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면서『책임보다는 이익만을 고집하는 생산 회사와 기술개선 없이 권리를 주장하는 일반 정비업소들 사이에서 정부 당국이 미지근한 태도를 취해 소비자만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현대 자동차 이영석 이사(정비담당)는『기술교육과 장비지원을 하고있는 현대 지정 정비공장이 전국에 3백 여 개소 있어도 소비자가 직영공장에 몰리는 것은 환자가 종합병원에 가는 심리』라고 말하고 소비자들이 각 생산 회사의 지정 정비공장을 적극 활용해야한다고 덧붙였다.
교통부의 김수용 사무관(안전·관리국)은『생산업체들은 애프터서비스 직영센터의 확대 운영을 교통부가 가로막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 업체들이 보증기간 차량을 위한 무상수리만 할 경우 타산이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직영 정비공장이 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생산업체와 일반 정비공장, 카 인테리어 업체들이 공생할 수 있는 종합대책을 구 상 중』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 같은 문제점의 개선책으로▲자동차의 생산·판매·사후관리의 분리 ▲자동차의 품질·계약·서비스를 전담하는 자동차 소비자 협회 구성 ▲자동차 고장이 제작 상 혹은 사용상의 문제인지 판별해주는 심의 위원회 설치 ▲소비자를 위한 자동차 관리교육 강화 등 이 제시 됐다. <고혜련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