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노조, 정부와 협력 불가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지난 4일 동유럽 최초로 민주적으로 실시된 폴란드 총선이 18일 2차 투표에 들어간다.
1차 투표 결과는 자유노조의 압승으로 끝났고 과반수를 얻지 못한 상원의석 8석 및 하원의석 2백59석을 놓고 재투표를 실시하는 것이다.
자유노조와 정부가 합의한 정치 개혁은 1백석의 상원을 신설, 이를 자유선거로 구성하고 실질적 의회인 하원(세임)의석 4백60석 중 35%인 1백61석만을 자유선거로 실시하고 나머지는 공산당 및 그 제휴 정당이 차지하도록 돼 있었다. 이와 함께 의회 해산권을 가진 강력한 대통령직을 신설, 이 자리를 공산당이 차지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개표결과 예상치 못한 사태가 발생, 공산당 정권은 물론 압승한 자유노조 조차 크게 당황하고 있다.
1차 투표에서 압승한 자유 노조는 18일 제2차 선거가 끝나면 상원 1백석 전의석, 그리고 재야에 배정된 하원 1백61석중 1백60석을 차지할 것이 거의 확실하다.
한편 공산당 및 제휴 정당은 상원에서 전멸했으며, 하원에서 공산당에 배정된 2백99석 중 겨우 7석이 확정됐을 뿐이다.
이러한 패배에 덧붙여 공산당은 배정된 2백99석 중 소위 전국 후보로 입후보한 35석 중 33명이 과반수 득표에 실패, 대거 낙선해 궁지에 빠져있는 것이다.
전국 후보들은 모두 공산당 및 정부의 거물들로 이들은 경쟁 없이 단독 입후보, 전국민의 찬반만을 물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해선 2차 투표조차 할 수 없고, 따라서 배정된 의석 33석 자체가 소멸될 형편이다.
특히 자유노조 입장에선 낙선 전국 후보 중 현재의 정국 구도를 이끌어온 카운터파트인 「라콥스키」수상, 「키스차크」내무상 등 개혁파 지도자들이 대거 포함돼 있어 불안을 더해주고 있다.
만약 이들이 의회에 들어가지 못할 경우 정계 은퇴가 불가피하며, 결과적으로 공산당 내에서 강경파가 득세, 그 동안 애써 쌓아온 성과를 모두 잃게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이 같은 우려에서 자유노조는 처음엔 정부의 연립정부 구성제외를 거부하고 「이슈별 협조」를 고집했으나 최근 각료구성에 참여용의를 밝히는 등 적극적 협조의사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자유노조가 정부에 협조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우선 양측이 추구하는 근본 목표가 크게 달라 진정한 의미의 연립이 불가능하며 이번 선거결과에 고무된 자유 노조로선 오는 95년 완전 자유선거에서 집권 가능성을 고려할 때 정부와 일정한 거리를 두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폴란드 정부로서도 자유노조와의 협조는 필수적이다. 현재 폴란드가 처해있는 경제적 난국, 즉 3백90억 달러에 달하는 외채, 연간1백%의 인플레, 높은 실업률을 해결하기 위해선 국민들에게 더 많은 인내를 요구하는 인기 없는 긴축정책을 추구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 무거운 짐을 자유노조와 나눠지려는 것이다. <량>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