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사일 발사 강행 땐 안보리 경제 제재 등 조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 당국자는 전날 반 장관의 우려 표명과 관련, "상황이 이대로 간다면 미사일 시험 발사를 할 수 있다는 판단이 나왔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당국자는 "그렇다고 해서 아주 명시적인 단계, 예를 들어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거나 하는 식으로 계산하는 단계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미국의 로버트 졸릭 국무부 부장관은 반 장관이 2일 워싱턴을 방문했을 당시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강행할 경우 유엔 안보리 경제제재 조치 등을 취할 것"이란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한국도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사업 등 남북 경협 문제를 재고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했다는 것이다.

한.미 정보 당국은 위성사진 촬영 등 대북 감시망을 가동해 북한의 대포동 2호 미사일의 발사 징후를 점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사 징후가 포착된 대포동 미사일은 지난달 초 평양의 비밀군수기지인 잠진공장을 출발해 발사장인 함북 화대군 무수단리에 도착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미사일은 7~10일이 소요되는 발사대 장착과 액체연료 주입만을 남겨놓은 상태인데 이는 8~12주가 걸리는 미사일 발사 준비기간을 감안할 때 막바지 단계다.

최훈.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