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초 4당 영수 회담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여야는 문익환 목사 방북사태 이후 좌경문제·남북문제 등 정치현안과 심각한 노사분규 및 경제적 난국에 대해 정치권이 공동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6일의 야당 3김 총재회담 후 5월초 4당 영수 회담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4당 총재회담은 김대중 평민당 총재가 20일 기자회견을 통해 제안하는 등 야권에서 수차례 제의한바 있으며 민정당도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 추진할 의사를 밝히고 있어 3김 총재회담에서 야당간에 합의가 이뤄지면 5월초에는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4당 영수회담에 대해 김영삼 민주당 총재는 반대 입장을 보였었다.
여권의 한 소식통은 21일『최근 한미통상 마찰·파업 등 노사분규 확대 및 물가 불안요인이 겹쳐 위기상황에 빠지고 있는 경제현실 등을 감안할 때 정치권의 공동대응이 절실하며 야당 측도 이에 대해서는 인식을 같이 하고 있어 폭넓은 공감대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히고『5월24일 노태우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임시국회 소집 직전인 5월초에 청와대 회담을 열어 현안에 대한 수습책을 협의하는 것이 시기적으로 적절할 것』 이라고 말했다.
소식통은 이번 청와대 회담에서는 5공 청산·광주문제 등 정치현안을 일괄 매듭지어 정치적 안정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청와대 회담의 형식을 연석회담으로 할 것인지 개별회담으로 할 것인지는 3김 총재 회담 결과를 보아 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여야는 영수회담 추진문제와 관련해 내주부터 4당 사무총장·정책위의장 등 중진회담을 추진하고 4월말께 총무회담을 열어 이 문제를 매듭지을 방침이다.
민정당의 김윤환 총무는 이날 『회담형식에 대해 지난 중간평가 연기이전의 청와대 단독회담 결과 불필요한 오해와 잡음을 불러일으켰던 점을 감안해 이번 영수회담은 단독 개별회담보다 4당총재 연석회담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종찬 사무총장도 영수회담의 필요성에 원칙적 동의를 표시하고 『다만 영수회담을 직접 하는 것보다는 실무급에서 먼저 세부적으로 논의한 뒤 결론부분만 영수회담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사전 정지작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총장은『내주 중 4당 총장·총무·정책위의장 회담이 잇달아 열리면 이 문제가 보다 더 구체화될 것』이라고 말하고『4당 연석 회담이 효율적이나 개별 영수회담이 반드시 필요하다면 실무적으로 의견조정을 거쳐 오해의 소지를 없앤 뒤 가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해 개별 영수회담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평민·민주·공화 등 야3당 정책위의장들은 21일 아침 회동, 오는26일 열리는 3김 총재회담에서 야3당총재들이 시국안정을 기하기 위한 야권의 단일화된 대처 방안용 밝히기로 했다.
3당 정책위의장들은 총재회담은 시국문제에 대한 야권의 공동인식 및 합의점을 제시하고 아울러 정부의 파행적인 국정운용에 대한 경고 및 야당의 대응방향, 국민에 대한 촉구 등의 내용을 담기로 합의했다.
이에 앞서 20일 회동에서 3당 정책위의장들은 오는 26일 야3당 총재회담을 하며 그 의제로 ▲시국 진단과 3야 공조문제 ▲5공 청산과 민주화 ▲노사·학원사태 ▲문 목사 입북 등 통일문제 ▲좌경세력과 민주인사 구분문제▲부동산 투기·통상 마찰 등 경제문제 ▲기타 등 7개항에 합의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