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개혁’으로 신발기업 10개 유치 성공한 부산시 사연?

중앙일보

입력

신발산업집적화단지 위치도.

신발산업집적화단지 위치도.

부산 강서구 미음·녹산동 일대 국제산업물류도시(1단계, 571만1000㎡)에는 신발산업집적화단지(8만1000㎡)가 있다. 2017년 5개사, 2018년 1개사에 이어 내년 4개의 신발 제조·부품업체가 입주하는 곳이다. 10개사 모두 부산에 근거지를 두고 중국과 북한 개성, 경기·양산에서 공장을 옮겨오거나 공장을 확장하는 기업이다.
 이들 신발업체는 원래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내 국제산업물류도시에 입주가 불가능했다. 소음·냄새·분진 등 공해를 유발하는 신발 업종은 경제자유구역의 퇴출대상 업종이었기 때문이다.

신발산업집적화단지에 입주한 신발기업.[사진 부산시]

신발산업집적화단지에 입주한 신발기업.[사진 부산시]

어떻게 입주가 가능했을까. 사연은 2012년 6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한국신발산업협회는 일부 신발 기업이 이미 신발공장이 많던 사상·사하구 일대에 부지를 구할 수 없다며 부산시에 대책을 요구했다. 국제산업물류도시 내 산업단지 중 일부를 신발 기업에 공급해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부산시는 경제자유구역을 관할하는 산업통상자원부·경제자유구역청과 간담회·회의를 여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들 기관과 현장 실사도 했다. 그러기를 10여 차례 4개월만인 2012년 10월 산업부와 경제자유구역청이 긍정적으로 돌아섰다.
 부산시는 경제자유구역청에 신발산업 입주허용을 요구하는 행정협의회 안건을 정식 제출하고 같은 해 12월 신발산업집적화단지 조성계획을 마련했다. 마침내 경제자유구역청은 2013년 8월 국제산업물류도시의 산업단지 계획 변경승인을 하고 신발집적화단지를 허용했다. 대신 공해저감 대책을 요구했다.

신발산업집적화단지에 입주해있는 신발기업. [사진 부산시]

신발산업집적화단지에 입주해있는 신발기업. [사진 부산시]

강서 국제산업물류도시에 신발산업집적화단지 조성 #산업부·경제자유구역청 설득해 산업단지 변경승인 #해외 U턴 기업 등 10개사 유치…내년 본격 가동해 #28일 적극적인 규제개혁 행정으로 국무총리상 수상

삼덕통상·한영산업·정우·레오파드·유성신소재·천일상사·화인·영인코리아·학산·고려티티알 등 10개 기업이 2120억원을 들여 용지를 사들이고 공장을 짓게 된 사연이다. 이들 중 6개사가 현재 임직원 600명을 고용해 공장을 가동 중이다.
 김종범 부산시 융복합주력산업과장은 “내년 말까지 10개사가 1250명을 고용해 공장을 가동한다”며 “적극적인 규제개혁 행정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부산 신발산업 부흥에 기여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부산 신발업체(10인 이상)는 2015년 203개에서 현재 230개로 늘어났다.

신발산업집적화단지에 입주한 신발기업.[사진 부산시]

신발산업집적화단지에 입주한 신발기업.[사진 부산시]

신발산업집적화단지에 입주한 신발기업.[사진 부산시]

신발산업집적화단지에 입주한 신발기업.[사진 부산시]

부산=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