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사 내년 최소 1000명 뽑는다...13년만의 최대

중앙일보

입력

[연합뉴스 이미지]

[연합뉴스 이미지]

 정부가 내년 공인회계사를 최소 1000명 이상 선발하기로 했다. 지난 2006년 이후 최대 규모다.

금융위원회는 21일 공인회계사자격제도심의위원회가 전체회의를 열고 2019년도 공인회계사 최소 선발 예정인원을 1000명으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보다 150명 늘어난 수치로 최소 선발예정 인원이 늘어난 것은 2009년 이후 10년 만이다. 특히 최소 선발 예정인원이 1000명대에 달한 것은 지난 2006년 이후 13년 만이다.

공인회계사 선발 인원은 1999년 500명, 2000년 550명 수준이었지만 외환위기 이후 회계 전문인력의 수요가 대폭 늘어났다는 이유로 2001년부터 2006년까지 매년 선발 인원을 1000명 이상으로 늘렸다. 그러다 2007년 750명, 2008년 800명에 이어 2009년부터 올해까지는 850명을 유지했다.

정부는 외부감사 대상 기업이 증가하고 이달부터 새로운 외부감사법이 시행되면서 회계사들의 감사 업무량이 증가한다는 점을 선발 인원 확대 이유로 꼽았다. 금융위는 “현재 시장의 수급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했다”며 “외부 감사 대상 회사 증가, 새 외부감사법 시행 등으로 외부감사 인력 수요는 기존 회계법인·감사반 소속 회계사 수(1만2056명) 대비 약 6.4%(772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등록 회계사는 지난해 기준 1만9956명으로 2005년 8485명보다 크게 늘었다. 그러나 현재 기업 회계감사 업무를 하지 않은 채 일반 직장 등에 취직한 '휴업' 회계사가 7256명(올해 6월 기준)으로 전체 등록회계사의 36.1%를 차지한다.

업계에선 과도한 업무 부당 등으로 회계법인에서 이탈자가 속출하고 휴업 회계사가 많은 상황에서 인원만 늘리는 것은 대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젊은 공인회계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공인회계사 증원 반대 모임'은 최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현재 회계감사 시장에서 공인회계사 인력 부족은 절대적인 인원수가 부족한 게 아니라 감사 업무를 담당해야 할 공인회계사들이 회계법인에서 너무 많이 퇴사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수한 인재가 자긍심을 갖고 감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회계법인의 보상체계 합리화 등 감사 환경 개선에 대한 업계 내 활발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지상 기자 groun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