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금 시비「사제공청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14일 오후3시 연세대 백주년기념관 강당. 3백여명의 교수·학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등록금 문제와 교수·학생의 학사행정 참여를 위한 사제간 공청회」가 열렸다.
『인건비 인상, 노후 컴퓨터교환 등 최소한 68억원의 투자재원이 필요합니다. 7·2% 인상은 교육을 포기하지 않으려는 최소한의 인상률입니다.』
『정부는 목적세인 교육세를 올림픽시설 보조비인 공공화장실 운영비로 30억원을 쓰는 등50%나 전용했습니다. 사학 지원금 확대촉구를 위한 공동성명을 촉구합니다.』
최근 대학가에 불붙은 「등록금 동결투쟁」의 열기를 반영하듯 학생·교수들은 추위속에 떨면서도 3시간30분 동안이나 꼼짝않고 진지한 자세로 의견을 나누었다.
『학교당국은 국고보조금의 결여와 교육비 인상요인을 더 이상 학부모에게만 떠맡겨서는 곤란합니다.』
『학교재정부담을 전적으로 등록금에만 의존해선 안된다는 학생들의 주장에 원칙적으론 이해를 같이하나 등록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학교측의 입장도 현실적으로 인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등록금인상의 원인이 파행적인 교육정책에 있다면서 정부와 학교당국을 질타하는 대학원생들의 목소리에 평교수 협의회 대표들의 신중한 지적이 뒤따랐다.
등록금과 학생들의 학사행정 참여문제로 전국의 대학들이 대화조차 기피하는 학교당국의 불성실한 자세와 이에 맞선 학생들의 시위·점거 농성 등 과격한 행동으로 소용돌이치는 가운데 드물게 열린 대화의 장.
장시간의 공방전도 결국『1백년에 걸친 문제를 하루아침에 해결할 수는 없지 않느냐』는 학교측의 현실론과 『인상률 숫자가 문제가 아니라 경직되고 권위주의적인 학사행정운영을 민주적으로 고쳐 학생들이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학생들의 이상론(?)만 확인한채 막을 내렸다.
그러나 『기피와 투쟁보다 역시 대화가 더 어렵다』면서도 끝내 자리를 지키고 다시 대화를 기약하는 학생·교수·대학당국의 민주적 자세속에 이미 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위한 실마리가 찾아진 느낌이었다. <김기봉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