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로 빚어진 '파이프라인 정치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자원 부국들이 오래된 무기를 다시 꺼내 들었다. 국제 석유.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이 그것이다. 뉴욕 타임스는 14일 "파이프라인이 정치적 지렛대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언제라도 공급 밸브를 잠가 수입국을 쩔쩔매게 할 수 있다는 뜻이다. 국제 파이프라인이 등장한 것은 100여 년 전이다. 그러나 낮은 에너지 가격과 대형 유조선에 밀려 큰 빛을 보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새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러시아는 걸핏하면 유럽에 대한 천연가스 공급 중단을 들고 나온다. 좌파 성향인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남미 통합'을 위한 파이프라인을 놓겠다며 미국의 신경을 건드린다. 21세기 판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를 나누는 기준은 돈이 아니라 자원이 될지도 모른다.

김선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