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대비 관가 "비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전국을 휩쓴 올림픽 열기 속 관가마다 국정감사대비 비상 근무령이 내려졌다.
「유신」과 함께 폐지됐던 국회의 국정감사제도가 l6년만에 부활돼 올림픽이 끝나는 10월초부터 상임위별로 일제히 감사에 나서게됨에 따라 정부 각 부처와 산하기관·지방 자치단체 등은 이에 대비한 자료정리·준비작업에 거의 전 직원이 매달려 밤샘근무를 계속하고 있다.
「5공」비리를 핵심으로 지난 16년간의 행정독주 적폐를 대청소하는 의의를 갖는 이번 감사는 어느 때보다 호된 야당의 추궁이 예상돼 대상기관들은 해묵은 자료, 부실한 자료들을 챙기고 보완하느라 비지땀을 흘리는 한편 의원들을 상대로 한 연고자 방문 등 로비활동도 벌이고 있다.
또 올림픽비상근무에 이어지는 이 같은 국정감사준비 작업으로 대부분의 행정기관이 다른 업무에는 신경을 못쓰는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중앙부처=10월5일 본부의 업무보고에 이어 6∼15일 지방 시·도 감사, 18∼19일 본부감사, 20일 새마을 본부감사로 일정이 잡힌 내무부는 기획관리실을 중심으로 소관 국별로 자료 준비작업을 9월말까지 끝낼 예정. 전 직원이 연일 비상근무중이다.
새마을비리·지방청와대 등 이미 문제가 됐던 사안들 외에도 교부세 배정·새마을 소득사업 등 지방재정 운용과 관련한 문제점, 경찰을 포함한 인사운용 등이 집중감사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경찰의 경우 최근 물의를 빚은 경무관 승진 변칙인사·박종철군 고문치사·김근태 사건 등 5공 시절 시국사건처리도 집중추궁이 있을 것으로 보고 대비중이다.
검찰도 이 같은「5공」공안사건과 이·장 사건을 비롯, 대형사건에 감사의 초점이 모아질 것으로 보고 긴장상태.
본부와 32개 산하기관 등 33개 기관이 국정감사 대상으로 정해진 문교부는 20일 해당기관의 감사·기획·예산 관계자회의를 열고 국정감사에 대비한 준비와 대책을 협의했다.
문교부는 국정감사대상 기관 가운데 14개 교위는 인사 및 예산집행부문에 조사가 집중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특히 7개 국립대 이외에 2개 사립대(조선대·영남대)는 재단문제, 그밖에 국립중앙도서관·정시문화연구원 운영 등에 대해서도 추궁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군도 상징적 의미가 큰 군에 대해 야당의 공세가 집중될 것으로 보고 각 군별로 대비해 긴장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