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은 제자리, 물가는 올라…엥겔계수 17년 만에 최고

중앙일보

입력

소득이 줄어도 식료품비는 줄이기 어렵다. [중앙포토]

소득이 줄어도 식료품비는 줄이기 어렵다. [중앙포토]

가계 소비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 엥겔계수가 2000년 이후 최고치가 됐다. 소득은 크게 늘지 않은 반면 '밥상 물가'가 가파르게 올랐다고 분석한다.

20일 한국은행의 국민계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가계의 국내 소비 지출은 573조 6688억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3% 증가했다. 이 중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품’ 지출은 78조 9444억원으로 4.7% 늘어났다.

이를 바탕으로 가계 소비 지출 대비 식료품비 비율을 의미하는 엥겔계수를 산출하면 13.8%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0.2% 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같은 분기 기준으로는 2000년 13.9% 이후 가장 높다. 엥겔계수는 2007년 11.8%까지 떨어졌지만 2008년 12%로 오른 뒤 지난해 14%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상승 추세다.

엥겔계수는 통상 소득이 높아질수록 낮아진다. 가계가 소득이 줄어들어도 필수품인 식료품 지출은 줄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엥겔계수 상승의 원인으로는 유기농, 기호 식품 등 소비 트렌드의 변화가 꼽히기도 하지만 식료품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해서라는 분석도 유력하다.

실제 2014년 4분기 이후 식음료 물가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웃도는 현상이 지속됐다. 반면 소득 증가율은 최근 2년간 0~1%대 수준이다.

백민경 기자 baek.minky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