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희의아이유학노트] <17> 방과 후 활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5면

이처럼 비슷한 수준의 학생들이 경쟁한다고 할 때 의외로 학업 외적인 요소가 당락을 결정하기도 한다. 즉 SAT 2400점과 2300점을 받은 두 학생이 있다고 가정할 때, 실제 100점이라는 엄청난 점수의 차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입학 사정관은 두 학생을 최우수 학력 집단으로 분류하고 학업 이외의 분야에서 당락을 결정하게 된다. 즉 우열을 가늠하기 어려운 박빙의 경쟁을 하는 경우에는 학생의 에세이, 교사의 추천서, 학업 이외의 특별 활동이나 봉사 활동 등이 승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과연 돋보이는 과외 활동이란 무엇일까?

A군의 경우를 보자. 학교 합창반원(6개월), 토론 클럽 회원(3개월), 체스 클럽 회원(1년), 사진부 회원(3개월), 적십자 회원(6개월), Model UN 회원(3개월), 해비타트 봉사 활동(1주일), 병원에서 환자 안내 활동(1주일) 등의 다양한 과외활동을 했다.

반면 B군의 경우는 교내 관현악 앙상블에서 리더로 활동(3년), 양로원에서 봉사 활동 및 관현악 연주(3년간 한 달에 두 번씩), 자신의 음악을 CD로 만들어 판매한 수익금으로 일정 금액 양로원에 기증 등의 활동을 했다.

과외 활동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멤버십보다는 리더십이다. A군은 음악을 비롯해 다양한 활동을 했지만 리더십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했다. 입학 사정관은 A군은 단지 봉사 활동을 했구나 하고 인식하거나, 아니면 봉사 활동에 있어 진정성마저 의심할 수도 있다. 반면 B군은 단순히 음악 활동과 봉사 활동을 했지만, 오랜 동안 꾸준히 양로원 봉사 활동을 통해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리더십을 발휘했다는 점에서 큰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입학 사정관이 눈여겨보는 것은 지원자가 어떤 분야에 얼마나 많은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으며, 얼마나 오랜 동안 그 일에 종사했느냐는 것이다. 아울러 그 활동에서 얼마나 많은 리더십을 발휘했는가와 그 활동을 통해 학생은 무엇을 배웠고 그의 삶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느냐에 관심을 두게 된다.

그러므로 과외 활동은 학생의 흥미나 적성 혹은 전공과 연관된 활동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실행하고 그 활동을 통해 리더십을 발휘해 자신의 삶을 한층 더 성숙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활동에 대한 경험이 에세이에 녹아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박영희 교육컨설팅 세쿼이아 그룹 대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