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감정 해소가 최대 관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13대 국회가 해야할 가장 큰 과제는 지역 감정 해소로 나타났다. <상보3면>
본사부설 여론 조사기관인 중앙 SVP와 협조, 13대 총선에서 당선된 지역구 출신1백17명, 전국구 38명 등 1백45명의 의원을 대상으로 면접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당선자들은 13대 국회의 최우선 과제로 지역감정 해소(17·7%)를 꼽았으며 두 번째가 광주사태 해결(14·3%), 그 다음이 물가안정(12· 9%)이었다.
이밖에는 ▲악법개폐(11%) ▲지자제 조기실시(10·8%) ▲제5공화국 비리 조사(10·3%)를 들었다.
지역감정 해소 방안으로는 당선자의 53%가 지역간 균형개발을 들었으며 인사제도 개선 (13·1%) 과 함께 행정구역 개편(9·7%) 필요성을 지적했다.
또 광주사태 해결을 위해서 민화위 건의대로 명예회복·피해자 보상에 중점을 두라는 의견이 37·9%로 가장 많았으나 진상을 재조사하되 처벌하지 않는다(28·3%)는 의견과 진상 재조사와 책임자 처벌 (29·7%) 의견이 58%로 책임자 처벌 여부와는 별개로 진상은 재조사해야 된다는 의견이 과반수였다.
특히 민화위의 피해 보상안은 거의 민정당의원들이 지지했고 평민·민주·공화당 등 야당은 거의가 진상 재조사를 주장해 앞으로 국회에서 이 문제 처리를 놓고 여야간 진통이 예상된다.
당선자들은 13대 국회가 극히 생산적일 것(51%), 난항할 것(45·5%) 이라는 지극히 상반되는 전망을 했는데 민정당 소속은 13대 국회의 전도를 불투명하게 본 반면 야당들은 모두 큰 기대를 거는 대조적인 반응을 보였다.
헌법에 대해 당선자들은 직선 대통령제를 가장(39·3%) 선호했다.
그러나 예상 밖으로 내각책임제 선호(34·5%)와 내각제가 실정에 맞지만 시기상조(24· 8%) 라는 견해를 합치면 59·3%가 내각 책임제에 대한 만만찮은 기대를 보여주었다.
노 대통령의 올림픽 후 중간평가 공약과 관련, 「국민 투표로 재 신임을 물어야한다」는 의견이 45·5%로 가장 많았으며「국회에서의 신임 투표로 재 신임」(10·3%)까지 합치면 55·8%로 재 신임을 물을 필요가 없다는 견해(33·1%)를 훨씬 앞질렀다.
야당 통합에 대해서는 3당의 독자적 행동을 지지하는 목이 모두 합쳐 84·2%나 돼 통합가망은 아주 희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 구성협상을 앞두고 여야 당선자들 거의(75·2%)가 제1당인 민정당이 국회의장, 나머지 부의장 2명은 야당이 맡아야 한다는 합리적인 의견을 보였다.
17년만에 부활된 소선거구에서 격렬한 선거운동 끝에 원내에 진출하게 된 의원들은 소선거구제를 가장 선호했으나(45·5%) 1구1∼3인제 (20%), 1구2인제(13·8%), 1구3∼5인제(13·1%)등 소선거구제 반대 의견도 53·1%나 되어 현행 선거구에 대한 찬반이 극단적으로 엇갈렸다.
당선자들은 선거운동을 지나치게 규제하는 현행 선거법에 대한 불만을 나타내 71%가 선거운동의 규제 완화를 요구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