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기업] 신재생에너지 3020 달성 로드맵 확정 발전량 등 통합관제시스템 구축키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한국서부발전 

최근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신재생에너지 워킹그룹은 신재생에너지 간헐성 대응을 위해 ▶백업설비를 고려, 최소 설비예비율 반영 ▶ 발전량 예측, 계측, 제어를 위한 통합관제시스템(그래픽 참조) 구축·운영 ▶ 유연성 설비에 대한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등을 검토했다.

한국서부발전도 이같은 정부 정책에 발맞춰 ‘신재생에너지 3020 달성 로드맵’을 확정했다. 이에 따르면 2030년 서부발전의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4268㎿, 신재생 발전량은 1만4486GWh로 증가하게 된다.

신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발전량의 20% 수준으로 확대할 경우, 신재생 전원의 간헐성 보완이 필요하므로 빠른 시간 내에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속양수, 가스터빈 단독 운전이 가능한 LNG복합 등의 백업설비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고 있다. 또 간헐성 대응을 위해서는 관제기능 강화, 백업설비에 대한 합리적 보상을 위한 제도 개선 등이 추가로 필요하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국가들은 신재생발전량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고 간헐성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사전 발전량 예측기능, 실시간 발전량 계측기능, 출력 급변시 제어기능 등을 포함한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서부발전 같은 사업자는 발전단지별 기상예보를 토대로 발전량을 예측해 제출하고, 전국 및 지역 단위 관제시스템에서 이 정보들을 종합 분석해 신재생에너지 간헐성에 선제 대응하게 된다.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한 대부분 국가들은 계통접속을 희망하는 사업자가 발전단지별로 발전량 계측 및 예측 정보를 제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시범단계 시스템 구축 후 내년부터 2년간 시험운영을 추진하고 2020년 이후 관제시스템이 본격 운영된다. 기존 한전과 전력거래소의 인프라를 활용해 지역 단위 관제시스템을 운영하면 날씨·지형 등 지역 여건에 영향 받는 신재생발전소와 국가 관제시스템간 브릿지 역할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발전비용 중심의 현재 전력시장으로는 계통안정 기능의 핵심인 유연성 설비에 대한 보상이나 규제가 어려워 유연성 설비에 대한 투자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간헐성 대응능력이 우수한 자원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거나 신재생사업자가 유연성 자원을 보유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가 필요하다. 아울러 신재생이 전력시장 가격에 반응할 수 있도록 실시간 가격 신호를 제공하는 등 신재생 확대에 맞춰 전력시장도 함께 진화하는 추세다.

김승수 객원기자 kim.seu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