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출신 의원들 "한국당, 김장겸·고대영 지키려다 함께 몰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MBC 출신 국회의원들이 6일 입장문을 내고 최근 김장겸 MBC 사장에 대한 체포영장 등을 이유로 국회 보이콧에 나선 자유한국당을 비판하고 나섰다. 이들은 "자유한국당은 김장겸(MBC)·고대영(KBS) 사장을 지키려다 이들과 함께 몰락하지 않도록 판단을 잘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장겸(왼쪽) MBC 사장과 고대영 KBS 사장. [중앙포토]

김장겸(왼쪽) MBC 사장과 고대영 KBS 사장. [중앙포토]

더불어민주당의 김성수·노웅래·박광온·박영선·신경민, 국민의당 정동영·최명길 의원 7명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언론 적폐를 양산한 KBS·MBC 경영진이 공범자라면 주범은 지난 9년 간 집권당이었던 자유한국당"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이명박·박근혜 정권 9년은 공영방송의 암흑기였다"며 "청와대는 공영방송에 재갈을 물리기 위해 방송법 개정까지 막아가며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인물들을 차례대로 사장에 앉혔다"고 비판했다. "그 결과 언론 자유와 독립성은 훼손됐고 공영방송은 정권 비호 방송이라는 오명을 안고 국민의 신뢰를 잃었다"고 했다.

이들은 MBC와 KBS 경영진을 향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사태가 이 지경이 된 것은 오직 권력의 의중만 살핀 김장겸·고대영 사장 등 경영진의 책임이 무엇보다 크다"며 "이들은 왜곡보도에 반발하는 직원을 내쫓거나 징계하는 등 악덕 기업주도 하지 못할 악질적인 부당노동행위를 저질러왔다. MBC의 경우 해고 10명 등 경영진의 부당노동행위로 인한 피해자가 200여명에 이른다"고 지적했다. 이어 "직원과 국민의 신뢰를 잃은 공영방송 경영진의 자리보전이 길어질수록 국민의 분노만 키울 뿐"이라며 "즉각 사퇴만이 수십 년 동안 몸담은 조직에 대한 마지막 예의를 지키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또 "이런 언론 적폐를 양산한 KBS·MBC 경영진이 공범자라면 주범은 지난 9년간 집권당이었던 자유한국당"이라며 "이제는 사법기관의 정당한 법 집행을 언론 탄압이라 둔갑시켜 이를 명분으로 국회 보이콧까지 선언했다. 집권 시절 공영방송 기능을 마비시키는 데 앞장섰던 자유한국당이 과연 언론자유를 운운할 자격이 있나"라고 쓴소리를 했다. "결국 (자유한국당은) 정권의 방송장악이라는 억지 주장으로 이른바 보수층을 결집시키고 바닥을 헤매고 있는 지지율을 회복할 반전의 기회를 잡아보려는 검은 속내를 드러낸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들은 "단언컨대 결코 그들의 뜻대로 되지 않을 것"이라며 공영방송의 정상화와 자유한국당의 보이콧 철회를 촉구했다.

박상욱 기자 park.lepremi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