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실탄 장전·발포명령' 軍 문건 공개…최초 명령자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에 주둔 중이던 505 보안부대가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광주소요사태(21-57)' 문서가 24일 공개됐다. 이 문건엔 시간에 따른 광주에서의 상황이 일지 형식으로 담겨있는데, "전교사 및 전남대 주둔병력에게 실탄 장전 및 유사시 발포 명령하달(1인당 20발)" 이라는 구체적 지침이 적혀있어 발포 명령자 등 진상규명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 5·18 기념재단 제공]

[사진 5·18 기념재단 제공]

5·18 기념재단은 이날 505 보안부대가 5·18 당시 입수한 정보를 종합해 작성한 일지로 보이는 문서를 공개했다. 이 문서는 1980년 5월20일 오후 11시10분과 15분, 광주에 주둔 중이던 505보안부대가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념재단 측은 "5월20일 밤, 505보안부대가 이 같은 군 지침 정보를 입수했고 다음 날 오전 0시20분 이 문서를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문서에 따르면, "23:00 완전 무장한 폭도가 1만여명에 달하고 있다"며 "23:15 전교사 및 전남대 주둔병력에게 실탄 장전 및 유사시 발포 명령하달(1인당 20발). 광주 소요가 전남 전 지역으로 확대됨에 따라 마산 주둔 해병1사단, 1개 대대를 목포로 이동 예정"이라고 적혀있다. 이는 "5월 20일 밤, 첫 실탄 지급됐다"던 지난 2007년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의 조사 결과와 일치하는 내용이다.

실제 이 문서의 내용대로, 계엄군은 다음날인 21일 전남도청 앞에 있던 비무장 상태의 광주 시민들을 향해 집단 발포를 자행했다. 당시 계엄군의 공식 지휘부인 2군사령부가 발포금지 및 실탄통제 지시를 내렸던 만큼, 발포 명령이 별도의 지휘체계를 통해 내려졌을 것으로 보인다.

정수만 전 5·18 유족회장은 "보안사에서 파견 나온 군인들이 있었다. 사실상 계엄군의 지휘본부로 볼 수 있다"며 보안사를 통한 별도의 명령 하달이 진행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505보안부대는 1980년 당시 계엄군의 지휘본부 역할을 했던 곳이자 시민군, 민주인사, 학생 지도부가 고문당했던 장소이기도 하다.

한편, 당시 3공수 12·15대대의 발포로 김재화(당시 25세) 씨등 4명이 숨지고 6명이 총상을 입었다.

박상욱 기자 park.lepremi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