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석학 노벨상 수상자 5명 특강, 서울도 아닌 지방 여고에 무슨 일이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201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마이클 코스털리츠(75) 미국 브라운대 교수가 오는 22일 전남 순천을 찾는다. 이날 순천매산여자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강을 한다. 노벨상을 받기까지 인생의 과정을 들려주고 질의응답 시간도 갖는다. 앞서 다른 4명의 노벨상 수상자들이 이 학교에 찾아와 학생들을 만났다. 세계적인 석학들을 서울도 아닌 지방의 고교까지 오게 한 주인공은 이 학교 장용순(61) 교장이다.

장용순 순천매산여고 교장의 힘 #“작은 곳서도 큰 사람 나올 수 있게 … #한 명이라도 인생 달라진다면 의미” #고액 강연료 대신 실비에 보성녹차

장 교장은 2010년 9월 기독교계 사립학교인 순천매산여고에 부임했다. 노벨상 수상자들이 이 학교에서 특강을 연 것은 이듬해부터다. 2011년(2000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시라카와 히데키), 2012년(2008년 노벨문학상 르 클레지오), 2013년(2007년 노벨물리학상 페터 그륀베르크), 2014년(2004년 노벨화학상 아론 치카노베르) 등 이번이 다섯번째다.

이 학교를 방문한 노벨상 수상자들 가운데 장 교장과 직접적인 인연이 있는 사람은 없다. 고액의 특강료를 받지도 않았다. 매산여고 측에서 지불한 특강료는 실비를 조금 넘는 수준의 금액과 통역비 정도다. 장 교장은 “고액의 특강료 대신 남도의 특산품인 보성녹차를 주로 선물했다”고 말했다.

그륀베르크 교수(左), 장용순 교장(右)

그륀베르크 교수(左), 장용순 교장(右)

장 교장은 노벨상 수상자들을 학교로 초청하기 위해 인맥을 활용했다. 그는 “8년 전 연수 때 강사로 와 인연을 쌓은 부산외 대 김문길 명예교수가 주로 도움을 줬다”고 소개했다. 독도 전문가로 잘 알려진 김 교수는 장 교장의 교육 철학에 감동해 한국 방문 계획을 세운 노벨상 수상자들을 연결해줬다. 노벨상 수상자들은 다른 수상자들도 이 학교를 다녀갔다는 얘기를 듣고 특강 요청을 흔쾌히 수락하기도 했다.

노벨상 수상자들의 마음까지 움직인 장 교장의 교육 철학은 지방이라는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큰 사람’을 만드는 것이다.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 여사,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 등 국내 유명 인사들의 특강도 잇따라 열고 있다.

장 교장은 “ 고교생들에게 노벨상 수상자 강연이 어떤 의미가 있냐고 물을 수도 있지만, 특강을 들은 단 한 명의 학생이라도 인생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면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순천=김호 기자 kim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