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이행 점검 부서 해킹당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와 관련한 부서의 컴퓨터가 누군가에게 해킹을 당해 유엔이 조사에 나섰다고 일본 NHK가 보도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사진 유엔본부 제공]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사진 유엔본부 제공]

NHK는 유엔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대북제재 결의 이행 상황을 조사하고 있는 안보리 전문가 패널의 컴퓨터가 해킹당한 사실이 이달 초 발견됐다고 전했다. 유엔 사무국은 관련 사실을 안보리 회원국에 통지하고 조사에 착수했다.

안보리 소식통은 NHK에 "내부 사람만 알 수 있는 이름과 정보를 사용한 의심스러운 메일이 이 컴퓨터에 전송됐다"고 밝혔지만, 아직 구체적인 피해 상황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 소식통은 또 "이번 해킹은 최근 전 세계 각지에서 일어난 대규모 사이버 공격(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과는 다르다"면서도 "대북제재에 대한 내부 정보를 노렸다는 점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사진 NHK 방송 캡처]

[사진 NHK 방송 캡처]

전문가 패널은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의 활동을 지원하는 기구다. 2009년 북한의 2차 핵실험에 대응해 구성됐다. 안보리 결의가 잘 지켜지는지 감시하면서 착실한 결의 이행을 보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매년 북한을 포함한 모든 유엔 회원국의 제재 회피와 결의 위반을 독자적으로 조사해 보고서를 제출한다. 지난 3월 안보리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전문가 패널의 활동 기한이 연장됨에 따라 2018년 4월 24일까지 활동한다.

하준호 기자 ha.junho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