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분뇨 처리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중앙일보

입력

대전의 한 도축장에 들어온 돼지들. 돼지분뇨는 수분이 많아서 제대로 처리를 안할 경우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쓰인다. [중앙포토]

대전의 한 도축장에 들어온 돼지들. 돼지분뇨는 수분이 많아서 제대로 처리를 안할 경우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쓰인다. [중앙포토]

수질오염과 악취 등 농촌의 골칫거리인 가축분뇨 문제를 해결하는 데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가축 분뇨를 하천에 몰래 버리거나, 이들 분뇨가 제대로 숙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농경지에 뿌려져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분뇨 수집·운반·처리·재활용 과정 추적에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 관련 기기 활용 #불법 처리 단속하고 전염병 차단 기여도 #환경부, 시스템 수출 위해 특허 신청

환경부는 가축분뇨의 불법 처리를 방지하기 위해 '가축분뇨 전자인계 관리시스템'을 지난 1월부터 시행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농가에서 가축분뇨를 수집해 공공처리시설로 옮긴 뒤 숙성시켜 액체비료로 만들어 농경지로 운반해 살포하는 전체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기 한 용도다.

전자인계 관리시스템을 통한 가축분뇨의 운반과 처리 과정 [자료 환경부]

전자인계 관리시스템을 통한 가축분뇨의 운반과 처리 과정 [자료 환경부]

 이 시스템에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이용한다는 것이 환경부 설명이다.

우선 가축분뇨 운반 차량엔 무게를 감지하는 중량센서가 들어간다. 또 차량 위치를 파악하는 위성항법장치, 처리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영상정보처리장치도 장착된다. 여기에 더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통신망 관련 장비도 동원된다. 이들 기기는 통신·센서 기능을 장착해 스스로 데이터를 주고받고, 필요한 기능을 작동시키는 사물인터넷기술에 해당한다. 

가축분뇨 수집 운반 차량에 부착되는 정보기기 [자료 환경부]

가축분뇨 수집 운반 차량에 부착되는 정보기기 [자료 환경부]

환경부는 또 국토지리정보와 행정정보시스템의 인허가 정보 등 빅데이터를 분석해 어느 지역에 얼마나 자주 액비(액체비료)가 살포되는지 파악한다. 이 과정에서 무단 살포 같은 불법행위도 색출해 낼 수 있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돼지를 키우는 충남 홍성의 한 농가. 돼지분뇨는 전문 운반차량이 수거해 공공처리시설에서 숙성을 거쳐 액체비료로 만들어진다. [중앙포토]

돼지를 키우는 충남 홍성의 한 농가. 돼지분뇨는 전문 운반차량이 수거해 공공처리시설에서 숙성을 거쳐 액체비료로 만들어진다. [중앙포토]

이 시스템은 허가받은 바닥면적이 1000㎡ 이상인 농가 4526곳에 의무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의무 대상을 넘어 지난달 말 현재 5299곳 농가(목표 대비 117%)에서 활용 중이다. 환경부는 오는 2019년부터는 50~1000㎡ 규모의 축산농가에도 이 시스템 사용을 의무화할 예정이다.

현재는 가축분뇨 중에서도 돼지분뇨에 이 시스템이 적용된다. 함수율 90% 정도로 수분이 많아 수질 등 환경오염 우려가 제일 크기 때문이다. 앞으로 소나 닭의 분뇨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환경부 이율범 유역총량과장은 “지난해 제주 돼지열병, 지난 2월 전북 정읍 등지에서 구제역이 발생했을 때 이 시스템으로 돼지분뇨 수거 차량의 이동 현황을 실시간으로 관계 기관과 공유한 덕분에 전염병 확산을 막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이 시스템을 해외에 수출하기 위해 특허도 신청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