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4호기 집수조 수위상승은 증기발생기 배수밸브 결함 때문"

중앙일보

입력

고리원자력본부는 부산시 기장군에 있는 고리원전 4호기(가압경수로형, 95만kW)의 집수조 수위상승은 “증기 발생기 3대 중 한 대의 증기발생기 배수밸브와 배관의 용접부 결함 때문이었다”고 29일 밝혔다. 또 “집수조 수위를 측정한 결과 원자로 정지 시점인 28일 오전 5시 11분까지 총 306L의 원자로 냉각재가 누설됐다”고 덧붙였다. 

 고리원자력본부는 격납 건물 내부 바닥 집수조 수위가 증가하는 현상을 점검하기 위해 원자로를 수동정지한 상태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승인이 있어야 재가동할 수 있다.
 고리원자력본부는 또 애초 7월 초 예정했던 계획예방정비를 앞당겨 실시할 예정이라고 이날 밝혔다. 하지만 정확한 일정은 공개하지 않았다. 통상 90일 정도 소요되는 계획예방정비는 원자력안전법에 따라 1년 6개월 주기로 시행한다. 연료 교체와 터빈·원자로 등 주요 설비·계통을 점검하는 것이다. 이번 계획예방정비 기간에는 최근 제기된 격납건물 내부철판(CLP)의 부식문제도 점검한다. 

 고리원전 4호기의 집수조 수위상승과 관련해 환경단체 등은 고리원자력본부의 늑장 대처를 비판하고 노후 원전 가동중단을 요구했다. 정의당 부산시당은 “한수원은 이번 수동정지로 방사선의 유출은 없다고 밝혔지만 당장 유출이 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불의의 사고로 인한 방사선의 유출은 순식간”이라며 가동 30년이 넘은  2~4호기의 조기 폐쇄를 주장했다. 에너지 정의 행동은 28일 발표한 성명에서 “핵연료를 식히는데 필수적인 냉각재 누출은 핵발전소에서 매우 위험한 일이다”며 “한수원은 27일 증기발생기 배수 밸브에서 냉각재가 누설되는 것을 확인했음에도 발전소를 바로 멈추지 않았고 관련 정보를 즉시 공개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환경운동연합은 “고리 2~4호기 등 30년을 넘긴 원전들은 설계수명이 40년이지만 이미 여러 설비에서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노후 원전의 안전성을 전면적으로 점검하고 대책을  세워라”고 촉구했다. 부산=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