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모든 자유무역협정 재검토"…한국 영향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백악관이 "미국이 체결한 모든 FTA를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숀 스파이서 미국 백악관 대변인. [사진 워싱턴포스트 홈페이지]

숀 스파이서 미국 백악관 대변인. [사진 워싱턴포스트 홈페이지]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현지시간 21일 정례브리핑에서 "체결한지 10~20년이 지난 협정들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스파이서 대변인은 "미국과 미국 노동자들에게 이 협정들이 지속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모든 무역협정을 들여다볼 것"이라며 미국이 체결한FTA 중 다수가 "새롭게 업데이트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리정부·업계 "확대해석 경계해야…모든 가능성 대비중"

대선후보 시절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FTA 손보기'에 각국 정부가 경계한 것을 의식한 듯 "특정 국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스파이서 대변인은 "시대와 기술의 진보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확실히 하기 위함"이라고도 밝혔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 한미 FTA를 놓고 "미국 내 일자리를 없애는 협정"이라고 꼬집었던 만큼 한미 FTA도 단순 '검토 대상'이 아닌 '업데이트 대상'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전망도 나온다. 한국무역협회가 지난 20일 개최한 토론회에서도 "한미 FTA의 긍정적 효과를 홍보해 상호 신뢰기반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하지만 우리 정부와 무역업계는 백악관의 이같은 발표에 대해 확대해석을 경계하고 나섰다.
대선후보 시절 TPP, NAFTA 탈퇴를 비롯해 해외로 흩어진 일자리를 자국 내로 돌려놓겠다고 공언했던 만큼 이같은 발표가 새로운 내용은 아니라는 것이다. 정부와 업계는 미국의 동향에 귀를 기울이는 한편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책을 고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상욱 기자 park.lepremi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