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후보자 선출권 낮춰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우선 진성당원들이 공직후보자 선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낮춰야 한다는 것이다. 열린우리당 김영술 조직 부총장은 "공직후보 선출 권한이 기간 당원에게 집중되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며 "권한이 너무 집중되지 않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조직국 이준우 팀장은 "책임당원과 관련된 부작용의 대부분은 경선 과열 때문"이라며 "경선제를 손보는 것도 방법"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마구잡이식 가입을 막기 위해 철저한 당원검증도 필요하다. 민주노동당 진보정치연구소 김윤철 실장은 "당비 납부뿐 아니라 교육과정 이수 등을 포함한 당 활동참여를 조건으로 당원자격을 부여하는 방안이 있다"고 말한다.

자발적 진성당원 모집이 쉽지 않은 현실이 문제라는 지적도 있다. 한나라당 전재희 의원은 "지난해 책임당원을 모으려고 당원 3316명에게 전화를 걸어 당비 납부를 부탁했으나 승낙 의사를 밝힌 사람은 278명, 그중 실제로 당비를 낸 사람은 78명뿐이었다"고 했다.

경희대 임성호(정치외교학) 교수는 "진성당원이라는 개념은 시대착오적인 것 같다"며 "진성당원이라는 비현실적 개념에 집착하면 이상한 정치적 편법을 낳게 된다"며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했다. 숭실대 강원택(정치학) 교수도 "우리나라 정당구조는 당원 중심의 유럽식과 유권자 참여를 확대하는 미국식의 중간쯤"이라며 "따라서 진성당원뿐 아니라 일반인들의 참여까지 대폭 수용하는 혼합식으로 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진단한다.

강주안.이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