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회사 뺏으려 "묻어버린다"…"'국가조폭'이란 생각 들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순실 측이 포스코 계열이었던 작은 광고회사 포레카를 빼앗기 위해 중소기업 대표에게 "묻어버리겠다"는 협박까지 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포레카를 인수한 광고회사 컴투게더의 한상규 대표의 입을 통해서다.

한 대표는 11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인터뷰에서 송성각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구속)으로부터 협박을 받았다며 그와 대화한 녹음파일을 공개했다.

재단이라는 것의 탑(윗선)에서 봤을 때는 형님(한상규)이 양아치 짓을 했다고 보고 있어요. 그래서 막말로 얘기하면 '묻어버려라', 까지도 얘기가 나왔대요. '컴투게더를 세무조사를 다 들여보내서 컴투게더까지 없애라.' 까지 얘기를 했대."

송 전 원장이 한 대표에게 한 말이다.

한 대표의 증언에 따르면 그가 포레카를 인수한 건 2015년 9월 1일이었지만 최씨와 청와대에선 1년 반 전인 2014년 4월부터 포레카 인수 계획을 세운다.

한 대표는 "포레카를 손에 넣으면 자기들이 원하는 모든 비즈니스를 수행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을 것"이라고 했다.

최순실 국정농단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특위 청문회에 출석한 송성각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왼쪽)과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차은택,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중앙포토]

최순실 국정농단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특위 청문회에 출석한 송성각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왼쪽)과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차은택,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중앙포토]

그가 말한 '비즈니스'는 기업의 광고 수주와 대통령 수행사업, 즉 '청와대 비즈니스'다.
1년쯤 뒤의 미르, K스포츠재단 설립을 앞두고 미리 준비했을 것이란 주장이다.

당초 포레카 입찰에는 롯데그룹과 한 대표의 컴투게더가 복수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규모와 자금력에서 월등한 롯데가 최종 탈락하게 된 것을 두고 한 대표는 최씨와 청와대의 계획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롯데그룹으로 가게 되면 대기업을 등치기 힘들 테니 일단 중소기업으로 보내고 그 다음에 뺏으려고 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지분을 내놓으라는 압력이 구체적으로 나오기 시작한 건 2015년 3월부터였다.

당시 포레카 사장이었던 김영수씨에 이어 송 전 원장도 한 대표를 압박했다.

한 대표의 기업과 광고주들에 대한 세무조사를 하겠다는 협박도 있었다.

협박의 강도는 시간이 갈수록 높아졌다.

포레카 인수 당시에는 80%의 지분을 요구하더니 90%, 나중에는 100%를 내놓으라고 요구했다.

"묻어버리겠다"는 협박은 그런 와중에 나왔다.

당시에는 K스포츠와 미르재단이 만들어지기 전이었지만 송 전 원장은 '재단의 탑(윗선)'의 뜻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한 대표는 "국가권력을 손에 쥐고 하는 그런 조직폭력배라서 정말 국가조직폭력배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고 말했다.

유길용 기자 yu.gil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