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키우기] 가난의 악순환 어떻게 끊을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중앙일보가 7월 7일부터 14일자까지 다섯 차례(5~10면) 연재한 '대(代) 물림 하는 가난' 기사를 참조하세요.

① 방학 동안 사회 단체에서 여는 기아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뒤 느낀 점을 써보세요.

여가생활 없이 하루 세끼만 먹고 사흘간 지낸 다음 느낀 점을 적어도 좋습니다.

② 생활이 어려운 급우를 보면 어떤 생각이 들고, 그들을 어떻게 대합니까? 가난하다는 이유로 무시하거나 왕따시킨 적은 없는지 돌이켜봅시다.

③'개천에서 용 난다'는 우리 속담이 있습니다. 가정 형편이 어려운 집안에서 고난을 극복하고 훌륭한 인물이 나왔을 때 쓰는 말입니다.

㉠ 우리 사회에서 지금도 이 속담이 통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를 6백자 안팎으로 설명하세요.

㉡ 역경을 딛고 뜻을 이룬 사람들의 얘기를 세 가지만 찾은 다음 그들이 성공한 바탕에 깔린 정신을 살펴보세요.

④ 빈곤층을 외면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사회적 문제점들을 예상해 봅시다.

⑤ 빈곤층을 돕기 위해 사회적으로 활발한 기부 운동이 필요합니다. 인터넷에서 빈곤층을 돕는 기부 단체를 조사하고 가족이 함께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보세요. 급우들끼리 정기적으로 어려운 이웃을 위해 봉사활동을 하고 그 내용을 학급 문집으로 꾸며도 좋습니다.

⑥ 미국의 경제학자 라그나 누르크세(Ragnar Nurkse.1907~1959)는 소득(자본).건강.교육 등 세 가지 관점에서 빈곤의 악순환이 일어나는 과정을 설명했습니다.

자본이 부족하면 저생산성→저소득→저저축→자본 부족(저소득→저구매력→시장 협소→투자 유인 약화→ 자본 부족→저소득)의 악순환을 겪습니다.

가난해서 영양이 부족할 경우와 교육 수준이 낮을 경우 악순환 과정을 설명하세요.

또 모둠 토의를 통해 각각의 사례에서 악순환을 선순환으로 바꿀 수 있는 방안을 궁리해 봅시다.

⑦ 국가는 헌법에 따라 모든 국민이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생존권을 보장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주변에서 가난 때문에 제대로 교육받지 못하거나 끼니를 굶는 또래들의 사례를 찾아 정부와 사회가 어떤 대책을 세워야 할지 의견을 나눠보세요. 그리고 우리들이 도울 수 있는 길은 없는지도 생각해 실천해보세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