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시위 초동진압|학내문제서 시국문제로 구호바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한양대와 조선대 방화·폭력사태에 이어 7일 전국25개 대학 5천4백여명, 8일 20개 대학 4천여명의 학생이 시위를 벌이는 등 대학가 시위가 확산될 기미를 보이자 대부분의 대학이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서울대·고대·전남대 등 대학의 일부학생들이 학내문제보다 「4·13조치」철회 등 체제문제를 들고 나오기 시작했고, 학내문제로 소요가 계속되고 있는 일부 대학에서는 총장퇴진과 사학의 비리에 화살을 돌리고 있어 전전긍긍하고 있다.
또 많은 대학이 다음주를 「광주항쟁 계승기간」으로 정한 가운데 8일 서울지역의 19개 대학 대표자들이 협의회를 구성, 연합시위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양대·조선대의 총장실 방화 및 교수폭행사건과 관련, 문교부가 「휴업조치도 불사한다」는 강경입장으로 선회함에 따라 소요가 장기화 할 경우 학교문을 닫아야 하는 어려운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치안당국은 교내시위라도 병력을 투입, 초동진압키로 했으며 문교당국은 과격시위로 학사운영이 어려울 때는 총·학장 재량으로 휴업조치키로 하는 한편 대학당국은 운동권을 비롯, 총학생회 간부학생들과의 폭넓은 대화와 설득을 강화하고 있다.
서울대는 9일 학생들의 시위양상이 반정부·체제쪽으로 기울자 대학간 연합시위발생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판단, 오는 13일부터 4일간 열리는 「5월제」행사때는 타교생 출입을 철저히 통제하고 학생행사에 교수가 적극참여, 지도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고대의 경우 7일 3백여명의 학생이 시국토론회를 가졌고, 서강대는 5백여학생이 호헌철페 및 독재종식을 위한 건설준비위 발족식을 갖는 등 동국대·한양대 (서울)·국민대·숭실대·장신대와 지방의 전남대·전북대·한신대 등이 학생들의 시위양상이 정치문제쪽으로 바뀌고있어 연합시위대비책을 서두르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