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민 농성 정국 경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의사당 사태 수사를 위해 검찰이 구인장을 발부 받아 강제수사에 나선 데 맞서 신민당이 10일 저녁부터 의사당에서 농성을 벌임으로써 정국이 극도로 경화된 가운데 여야는 11일 하오부터 사태해결을 모색하는 정치절충을 시작할 것으로 보이나 전망은 불투명하다. 이에 따라 연두국회는 사실상 불가능해진 것으로 보인다. 신민당은 10일 의원총회에서 결정한대로 검찰의 소속의원 7명에 대한 구인장 발부에 항의, 40명의 의원이 철야농성한데 이어 11일에도 국회에서 구인장 발부의 백지화와 구속된 의원보좌관·당원의 석방을 요구하며 농성을 계속하고 있다.
신민당은 당초 의총에서 소환대상자 17명과 총재단·총무단만 농성하기로 했으나 재경의원 대부분이 가세, 10일 밤에는 소속의원 90명 중 40명이 철야하고 17명이 밤 12시까지 농성했으며 귀향활동중인 의원들이 올라오는 대로 농성숫자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관계기사 2, 3면>
민정당은 11일 상오 신민당 의원들에 대한 구인장 발부로 신민당 의원들이 국회의사당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는 사태에 대해 정부 고위관계자들과 고위 당정협의를 가진데 이어 노태우 대표위원 주재로 당직자 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 신민당이 농성을 먼저 풀면 구인장 집행 및 의원 기소 등에 관해 정치적 협상을 벌일 수 있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세기 원내총무는 『신민당이 농성을 풀고 수사에 자진 협조한다면 의사당 사태와 관련된 의원들의 기소 여부와 범위에 대해 수사가 종결된 후 정치적 해결을 모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총무는 또 『신민당이 희망한다면 지금까지의 협상연장선 위에서 구인장을 집행하지 않는 대신 제3의 장소에서 조사하는 방안을 계속 절충할 수 있다』고 말하고 『그러나 이러한 모든 절충은 신민당의 농성해제가 선행조건』이라고 말했다.
이 총무는 『검찰수사에 응하지 않는 신민당의 태도는 검찰권을 부인하는 행위』라고 말했다.
한편 정순덕 사무총장이 정부관계자를 만나 최소한 의사당 내에서 의원들을 구인해 가는 사태만은 없어야한다는 민정당 측의 뜻을 표명했다고 민정당 관계자가 11일 밝혔다.
신민당도 11일 상오 농성장에서 당직자회의를 열어 민정당이 수락할만한 제의를 해오면 절충에는 응하되 신민당의 기본요구가 충족되지 않는 한 무기한 농성을 계속한다는 방침을 확인했다.
당직자 회의는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일시 방편 적인 타협에는 불응키로 해 당분간 강경 입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데, 강경 투쟁을 주장하고있는 동교동계가 유제연 사무총장을 앞세워 『검찰이 신민당의 고발 대상자들에게서도 조서를 받는다면 신민당도 소환에 응하는 게 어떠냐』는 의견을 각 계파에 타진중이다.
그러나 소환대상자 17명과 당내 율사들은 검찰의 구인장 발부가 피의자 조서를 작성해 기소하기 위한 것이므로 일체조사에 불응한다는 입장에서 후퇴하지 않고 있다.
이에 앞서 신민당은 10일 하오 의원총회에서 ▲구인장 백지화 ▲예산안·조감법 날치기 통과에 대한 민정당의 사과와 관련자 인책 ▲신민당에 대한 분열책동 중단 등을 요구하는 결의문을 채택, 이 같은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농성 투쟁키로 했었다.
한편 검찰은 구인장을 집행키 위해 10일 낮 국회에 수사관을 보냈으나 국회의사당에서 국회의원이 연행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이재형 의장의 만류를 받아들여 하오 10시쯤 의사당 외곽으로 철수시켰다가 11일 상오 8시 다시 의사당에 배치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