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우리 춤의 멋과 흥취를 손으로 잡을 듯 묘사한 글가운데는 조지훈의 시『승무』를 따를만한 것이 없다.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고이 접어서 나빌레라/…소매는 길어서 하늘을 덮고/돌아설듯 날아가며 사뿐히 접어 올린 외씨버선이여/…휘어져 감기우고 다시 접어뻗는 손이/깊은 마음속 합장인양하고』
해방후 국립 국악원장을 오래 지낸 성경인씨는 우리 전통무용의 특징을 세가지로 설명한 일이 있다. 첫째는 동중정, 정중동의 높은 경지를 꼽았다. 춤이 동작과 그 육체에만 있지않고, 보다 높은 정신세계에 자리잡아 진솔하게 표현된다는 것이다. 둘째는 춤사위 (동작)의 시작이 그 끝이 되고, 그끝이 다시 춤의 시작이 되는 무한한 연속과 반복이라는 것이다. 셋째는 자유스럽고 자연스런 무기교의 기교를 들었다. 감각적인 섬세한 표출이 아니라 유연하고 유장하며, 그러면서도 우아한 율동으로 아름다움의 극치를 이룬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춤은 발뒤꿈치에 중심을 두고 온몸을 으쓱으쓱 추키는데 묘미가 있다. 따라서 어깨가 자연히 들썩들썩 물결처럼 파장을 이루면서 그 율동이 손끝으로 번지는 것이다. 가슴 속에서 우러난 도도한 흥이 어깨를 타고 손끝으로 흐르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 춤이나 일본 춤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일본 춤은 일상생활의 미세한 동작을 승화시켜 양식화하고 세련미를 부여했다. 그래서 현실적이고 감각적이다. 가령 실제로는 무대에 없는 꽃을 주어 머리에 꽂는 시늉이라든지, 부채를 펴서 부치는 동작등이 바로 그런 것이다. 또 일본 춤은 발의 앞부분으로 사뿐사뿐 걷는 모습이 우리의 춤과 크게 다르다.
중국은 그 큰 대륙에 비해 음악과 무용이 크게 발달하지 못했다. 겨우 청조때 발전시킨 경극이 있을뿐인데, 그것도 무용이라기보다 가무쪽에 가깝다. 경극의 동작은 빠르고 기계적이다. 다리를 들 때도 「ㄱ」자로 꺾고, 팔 놀림이나 몸 움직임 모두가 무술적이다. 따라서 우리춤이 감정 표현이나 예술적인 면에서 가장 높은 차원에 있다고 무용 전문가들은 말한다.
우리의 전통무용은 정재무와 같은 궁중무용과 놀이를 중심으로한 민속무용, 그리고 승무와 같은 의식무용의 세가지로 구분된다. 궁중무는 극히 정제된 동작으로 경건하고 우아한 것이 특징이고, 민속무는 즐겁고 흥겨운 것이 특징이다. 의식무는 높은 정신의 세계를 아름답게 양식화된 미학으로 승화시킨게 특징이다.
이와같이 우리 춤의 전통이 계승되고 있는 것은 많은 인간문화재들의 꾸준한 노력에 의해서다. 최근 북한 예술단의 공연을 보고 많은사람들이 「이질감」 을 느낀 것과는 좋은 대조를 이룬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