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월반·조기졸업제 필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교육개혁심의회 (위원장 서명원)가 31일 대전에서 가진 공청회에서 참석자들은 현행 고교평준화정책은 모든 학생들이 능력과 적성에 맞는 교육을 받을 기회를 갖도록 개선돼야한다는데 뜻을 모았다. <공정회내용 6면>
「고교평준화정책」을 주제로 대전시민회관에서 열린 공첨회에서 주제강연에 나선 김윤태교수 (서강대)는 『평준화정책은 고교교육의 보편성과 수월성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면재검토돼야 한다』고 전제, ▲동일고교에 진학 및 직업과정을 법설, 3년을 원칙으로 하되 직업과정은 2년 또는 5년과정을 두어 신축성있게 운영하고▲적격자선발을 의해 연합고사 또는 내신성적으로 선지원-후선발토록하며 ▲학년제를 이수단위제로 바꾸고 ▲우수 학생에게는 심화학습또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월반· 조기졸업등의 기회를 부여하는 한편 ▲종합 또는 연합고교체제로 교육과정운영 및 내용을 다양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견발표에 나선 김인숙교장 (경기고) 이재옥교사(대전대신고) 등은 『평준화정책속에서 보편성과 수월성을 조화하기 위해 예체능및 과학등의 영재교육울 위한 특수목적고교를 설치하고 월반·조기졸업제도를 과감히 도입해야한다』 고 주장했다.
양영옥교장 (전주신흥고)을 비롯, 김영혁교장(서울서라벌고) 이인구회장(대전상공회의소) 등은 의견발표를 통해『현행 추첨배정에 의한 이질학습집단문제와 사학의 경영난등을 해결하기 위해 고입선발방법을 「학군내 선지원-후선발」로 바꿔야한다』고 제안했다.
이밖에 이날 의견발표에 나선 인사들은 한결같이 평준화정책이 중학교교육정상화등에 기여한것은 사실이지만 우수학생의 능력신장과 부진학생의 학습결손보상이란 측면에서 선발제도및 교육과정 문영등이 근본적으로 보완돼야한다고 주장했다.
교육개혁심의회는 이날 공청회결과틀 토대로 연내에 평준화정책 보완대책을 마련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