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온 재미 여변호사「그레이스·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미국의 일련의 수입제한정책으로 한국상품의 미국진출이 점점 어려워지는 것이 현실입니다. 미국 안에 공장을 세워 제품을 만들어 파는 방법이 한국기업에 의해 시도되고 있는데그러려면 먼저 미국내법을 알아야 합니다.』
샌프란시스코에 본부를 둔 미국 유수의 「그레엄 & 제임즈법률회사」로스앤젤레스지점에서 4년째 일하고있는 한국출신 여성변호사 「그레이스·박」(30·한국명 박나경)의 말이다.
그는 지난5∼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한 「미국의 통상정책과 대응방안에 관한 세미나」에 초청되어 한국에 왔다. 그는 이번 세미나에서 주로 한국기업이 미국내에 공장부지를정하고 운영하는데 관련된 법적인 문제를 강연했다.
5세 때 부모를 따라 도미한 박씨는 조지워싱턴대학에서 국제정치학을 공부했다. 이어 첫번째 동양여성으로 버지니아법대에 입학한 후 3학년 때 하버드로 적을 옮겨 81년 졸업했다.
부동산과 계약 판매 등 상담에 관한 법률업무를 주로 맡아하는 박씨는 자신이 한국인이기때문에 아무래도 일본·한국 등 동양계회사의 일을 많이 담당하게 된다고. 한국의 대우·현대·대한항공·조흥은행 등이 그의 회사 거래선이다.
변호사로서 여자이고 한국인이고 젊다는 사실이 핸디캡이 될 수 있으나 업무를 잘 수행하면 오히려 더 인정받을 수 있다고 그는 얘기한다. 대학3학년 때 허창문씨 (37·사업)와 결혼, 자녀는 아직 없다. 한국문화재단 박보희 총재의 3남3녀 중 장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