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베누, 수백억원대 사기 혐의로 피소…한때 연매출 500억원 달성했지만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스베누, 수백억원대 사기 혐의로 피소…한때 연매출 500억원 달성했지만

패션브랜드 스베누의 황효진 대표가 수백억원대 사기 혐의로 고소를 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황 대표는 최근 제조공장 업주들과 가맹점주, 에이전시 등에게 고소를 당했다.

기사 이미지

스베누 포스터

스베누는 2012년 '신발팜'이라는 인터넷 쇼핑몰로 시작돼 2014년 이름을 스베누로 이름을 바꾸고 온·오프라인 시장에 진출한 업체다. 사업 초기에 신발을 만들기 시작해 최근에는 의류도 판매하는 등 사업을 확장해 연매출 500억원을 달성했다. 전국 100여개 가맹점을 운영했고 AOA, 아이유 등 아이돌을 모델로 내세울 만큼 사세를 확장하기도 했다.

사장인 황 대표는 인터넷 방송 아프리카TV에서 ‘소닉’이라는 닉네임으로 ‘스타크래프트:브루드 워’를 플레이하며 시청자들에게 중계 방송 하며 인기를 얻었다. 인기를 바탕으로 창업한 그는 창업 3년 만에 ‘500억 매출의 성공한 청년사업가’로 우뚝 서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10일 시사매거진2580이 방송한 ‘스베누 유통 사기 피소’ 사태에 따르면 스베누는 최근 자본잠식상태에서 대금을 지급하지 못해 가맹점주들에게 고소를 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12월 서울 합정동 스베누 본사 앞에서 제조공장 관계자와 에이전시, 가맹점 관계자 등이 회사를 상대로 시위를 하고 황효진 대표를 사기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실제로 스베누의 재정상황은 좋지 않다.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스베누의 2014년 매출은 104억원이었으나 2억1000만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온라인 마케팅비에만 수십억원을 쏟아부었고 외국 연예인과 드라마 제작지원 등에 자금을 지원하면서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관련자들의 반발은 더 거세지고 있다. 앞서 12월 15일에는 중년 남성이 회사에 뛰어들어 옷을 다 벗은 뒤 “내 돈 내놔”라며 사무실을 돌아다니고 자해행위를 하다가 병원에 실려가기도 했다. 이 남성은 신발 공장주로 28억원이 넘는 돈을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황 대표를 고소한 제조공장 관계자는 “스베누가 물품 대금을 포함한 수백억원의 대금을 지급하지 않아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고 주장했고, 가맹점주들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스베누가 판매대금 회수에 시간이 걸리는 가맹점 대신 땡처리 업체에 물건을 팔고 있다”고 토로했다.

미국 디자인 회사 맥과이어 디자인과 회사 로고가 비슷하다는 표절 의혹도 제기됐다.

기사 이미지

미국 디자인 회사 맥과이어 디자인과 회사 로고가 비슷해 표절 의혹이 제기된 스베누 로고. 왼쪽이 스베누 오른쪽이 맥과이어 디자인의 로고.

스베누

경찰은 조만간 황 대표를 소환해 사기 혐의를 조사할 방침이다.

온라인 중앙일보

'스베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