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항생제에도 죽지 않는 '다제내성 임질균' 출현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현재 사용되는 어떠한 항생제에도 살아남는 ‘다제내성 임균’이 우리나라에서 발견됐다. 연구진은 “가장 강력한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에도 내성을 지닌 임균이 국내에서 출현, 확산초기에 놓여있다”며 감시 체계 구축 등 적극적인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경원 교수(사진)와 가톨릭관동대 의대 진단검사의학과 이혁민 교수팀은 2011~ 2013년 국내 남녀 임질환자 210명(남성 136명, 여성 47명)으로부터 배양한 임균의 내성 정도를 조사한 결과, 이 중19주가 현재 사용되는 치료항균제 가운데 가장 강력한 ‘세팔로스포린계열’ 에 내성 균주로 확인됐다고 22일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세팔로스포린계열 중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에 3%(7주), 세포독심(Cefpodoxime)에 8%(17주), 세픽심(Cefixime)에 9%(19주)의 내성균주 비율을 보였다.

국내에서는 2000년 초반부터 대부분의 임균이 페니실린, 테트라사이클린 및 퀴놀론 항균제에 내성을 보이기 시작해 이보다 강한 항균제인 세팔로스포린계열로 치료를 받는 환자가 전체의 47%에 달한다(2012년 기준).

특히, 내성 균주 19주 중에 4주는 지난 2011년 일본에서 발견된 고도 내성 균주와 유전적 관련성이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이 유전형은 임균 치료의 마지막 보루인 세프트리악손에 대한 고도내성 임균으로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임균에 의한 임질은 우리나라에서 연간 3만 5000여건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생식기질환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할 때 실제 환자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성병 중 하나로 절반 정도는 감염 증세를 보이지 않는다. 남성의 경우, 배뇨 시 따끔한 느낌이 있는 요도염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배뇨통과 함께 고름과 같은 농액이 요도를 통해 배출되기도 한다. 여성은 자궁경부염의 형태로 발전해 농액 분비물이 보이고 배뇨통과 빈뇨 및 긴박뇨 증상을 보인다.

불특정 다수와의 성접촉을 피하고 피임기구를 사용하는 등 예방이 최선의 치료로 강조된다.

이 교수는 “광범위 세팔로스포린에 내성을 가진 임균이 우리나라에도 출현해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세팔로스포린 내성 임균이 확산되지 않도록 국가 차원의 항균제 내성 세균 감시 체계를 구축하는 등 적극적인 관리와 관심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항균제와 화학요법(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에 ‘광범위 세팔로스포린에 내성을 가진 임균의 한국 내 출현’ 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인기기사]

·삼성, 바이오로직스 3공장 첫 삽…“3년 내 세계 최고 될 것” [2015/12/21] 
·서울역 차병원 난임센터 21일 개원 [2015/12/21] 
·퇴장방지의약품 최다 보유한 제약사는? [2015/12/21] 
·아름다운가게 초록산타 매장 4주년, SNS로 응원해요 [2015/12/21] 
·‘청소년 척추측만증’ 효과 높은 수술법 증명 [2015/12/21]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