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증후군 이렇게나 많아? 나는 몇 가지나 해당될까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일러스트=정소라]

 
'직장인 증후군'

직장인은 과도한 업무와 늦게까지 이어지는 회식으로 건강 관리를 소홀히 하기 십상이다. 특히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직장인은 시력이 나빠지고 오랫동안 허리를 구부린 채로 앉아 있어 척추 질환을 앓기 쉽다. 또, 잦은 감정 소모로 자존감 저하는 물론 우울증으로 이어지기 쉽다. 직장인이 겪기 쉬운 증후군은 어떤 것이 있을까.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75% 이상의 직장인에게서 만성피로 증후군이 나타난다고 한다. 만성피로 증후군은 ‘지속적이고 설명이 되지 않는 피로감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심각한 장애를 받는 상태’가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아직까지 그 원인이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극심한 스트레스 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거북목 증후군은 눈높이와 맞지 않는 컴퓨터 모니터 사용으로 목을 앞으로 쭉 내미는 자세가 습관이 되어 생긴다. 목이 앞으로 빠져 있으면 뒷목과 어깨 주변이 결리고 근육이 뭉친 듯한 통증이 지속되며 두통, 수면 장애가 동반될 수 있다. 어깨와 등을 펴고 허리와 고개를 꼿꼿하게 유지하며 30분에 한 번씩 목 스트레칭을 하면 거북목 예방과 치료에 큰 도움이 된다.

목 디스크는 목 통증과 팔&손 저림 증상이 대표적이며, 허리 디스크는 허리 통증이 있으며 다리가 저리거나 당긴다. 대부분 잘못된 자세로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거나, 무거운 물건을 반복적으로 드는 행동에 의해 생긴다. 바른 자세로 일하고 50분에 한 번씩은 일어나서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다.

손목터널 증후군은 키보드나 마우스를 손목 보호대 없이 장시간 사용할 경우, 손목터널이 좁아지고 압력이 증가해 신경이 자극받아 발생한다. 손과 손목이 저리고 경련이 오는 증상이 있으며, 심하면 주먹을 쥐기조차 힘들어진다. 컴퓨터 사용 시 손목 패드를 사용하고, 중간중간 손과 손목을 스트레칭하고 털어주는 것이 좋다.

스마일마스크 증후군은 스튜어디스, 창구 직원 같은 서비스 직군에서 많이 나타나는 증후군으로 가면성 우울증이라 한다. 겉으로는 웃고 있지만 화, 분노 등의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고 속으로 삭히기 때문에 생긴다. 부정적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고 친구나 가족, 직장 동료와의 대화를 통해 업무 스트레스를 표출하면 도움이 된다.

파랑새 증후군은 이상만을 좇으며 한 직장에 머물지 못하고 이곳저곳 옮겨 다니는 직장인의 증상을 말한다. 자신이 생각하는 업무와 실제 하는 일에 괴리감이 발생하는 입사 초기에 흔히 발생한다. 이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현재 있는 직장 내에서 만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업무에 관해 같이 이야기할 수 있는 직장동료를 만드는 것이 좋다.

슈퍼직장인 증후군은 직장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업무에 매달리는 증상을 말한다. 회사 일 때문에 사생활을 포기하고 업무 외 시간에도 일 걱정을 하며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런 생활이 지속되면 몸과 마음의 건강을 해치게 된다. 업무에 대한 압박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가족, 친구들과 시간을 보내며 여유와 심리적 안정을 찾고, 취미 생활로 만족감을 높이는 것이 좋다.

ADD 증후군은 대량 감원에서 살아남은 직장인들이 겪는 불안과 우울증, 소외감, 적개심 등의 정신적 장애를 의미한다. 1단계에서는 쉽게 피로감을 느끼거나 기억력, 집중력이 떨어진다. 2단계는 상사의 지시에 순응하거나 새 인사 고과에 자신을 맞추기 위해 노력한다. 3단계는 될 대로 되라는 식의 자포자기 상태에 빠진다. 자신감을 회복해 불안감을 떨쳐버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와이미 증후군은 자신만이 유독 부당한 대우를 받는다고 생각하는 심리로, 자신은 문제가 없는데 상사나 부하 직원, 회사의 잘못된 시스템이 모든 일을 그르치고 있다고 생각한다. 보통 자기가 희생양이 되어버렸다는 심리로 이어지며, 무엇에든 불만을 갖게 된다. 현실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눈이 필요하며, 투덜거리는 습관을 버리고, 남 탓으로 돌리기보다는 자신의 문제를 찾도록 한다.

원펀치 증후군은 인생은 한 방이라는 생각에 노력은 하지 않고 막연하게 인생 역전을 꿈꾸는 것을 말한다. 현재의 직장 생활에 만족하지 못하고 화려한 탈출만을 생각하기 때문에 현실에 집중하지 못한다. 이룰 수 있는 목표와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세워 실천하고, 현재가 없는 미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진리를 깨닫도록 한다.

'직장인 증후군'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