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푸드점 위생관리 엉망...롯데리아가 최악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패스트푸드의 위생상태가 엉망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인재근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내용이 밝혀졌다. 특히 롯데리아의 위생 관리가 가장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가 내놓은 ‘최근 5년간 주요 패스트푸드점 식품위생법 위반 현황’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2015년 6월까지 롯데리아, 맥도날드, 버거킹, KFC, 파파이스, 맘스터치 등 전국의 주요 패스트푸드점에서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건수는 300건에 달했다.

브랜드별로는 ‘롯데리아’가 127건으로 42.3%를 차지해 가장 많이 적발됐고 이어 ‘맥도날드’가 71건(23.7%), ‘맘스터치’ 46건(15.3%), ‘파파이스’ 27건(9.0%), ‘버거킹’ 16건(5.3%), ‘KFC’ 13건(4.3%) 순이었다.

롯데리아의 식품위생법 위반 내역 127건에는 ‘이물혼입(55건)’, ‘위생교육 미이수(15건)’, ‘조리시설 위생불량(14건)’, ‘시설물 멸실(11건)’, ‘조리기구 위생불량(9건)’,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5건)’, ‘유통기한 위반(4건)’ 이 있었다.

전체 패스트푸드점의 위반 내역을 살펴보면 ‘이물혼입’이 99건(33.0%)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조리시설 위생불량’ 30건(10.0%), ‘위생교육 미이수’ 25건(8.3%), ‘시설물 멸실’ 23건(7.7%), ‘조리기구 위생불량’ 16건(5.3%), ‘유통기한 위반’ 15건(5.0%) 등의 순이었다.

이물혼입에서는 벌레가 15건으로 가장 많았다. 또 너트․볼트 나사 등의 ‘금속류’가 11건, ‘비닐’과 ‘머리카락’이 9건, ‘곰팡이’, ‘플라스틱’, ‘뼈조각’이 각각 4건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H시의 롯데리아에서는 ‘닭털’이 검출돼 원재료 제조공정의 위생 상태 점검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인 의원은 또 "서울 S구와 경기도 Y시의 롯데리아에선 2012년과 2014년에 각각 ‘노로바이러스’와 ‘대장균’이 검출되기도 했으며 맘스터치의 경우 청소년에게 주류를 제공하다 적발된 사례가 5건이나 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인 의원은 “패스트푸드점은 어린이와 청소년이 많이 즐겨찾는만큼 철저한 위생관리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며 “점포별 위생교육 강화, 제조공정 점검 등 자체적인 점검과 식품당국의 철저한 단속 등 관리 감독에 더욱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인기기사]

·내년도 원격의료 예산 12억원 편성…험로 예고 [2015/09/24] 
·5년간 보건의료 기술이전료 ‘2조800억 원’ [2015/09/24] 
·약국엔 왜 칸막이가 없을까…환자정보 노출 우려 [2015/09/24] 
·폐렴 사망률 10년 새 3배 이상 증가 [2015/09/24] 
·수련병원들 "다인실이 메르스 키웠다" [2015/09/24] 

배지영 기자 bae.jiyoung@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