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석버스 회수권제 늑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버스요금 선불제가 실시된지 한달이 다되도록 좌석버스 회수권제가 시행되지 않아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있다.
이는 시행주체인 서울 시내버스 사업조합과 감독관청인 서울시가 요금할인문제를 아직까지 확정짓지 못하고 있기때문으로 회수권제 발행준비를 다해놓고도 시행이 늦어지는 바람에 시민들만 골탕을 먹고있다.
서울시는 지난1일부터 버스요금 선불제를 시행하면서 빠른시일안에 좌석버스 회수권제를 실시하겠다고 밝히고 조합으로 하여금 준비를 하도록했으나 회수권사용의 촉진방안을 둘러싸고 서울시는 회수권 10장을 살때 1장을 덤으로주거나 할인판매하는 방안을 주장하고있는 반면 조합측은 회수권20장에 l장을 얹어주는 방식을 주장하고있어 회수권제 시행이 늦어지고 있는것.
이 때문에 좌석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은 출퇴근때마다 3백50원을 잔돈으로 준비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4백원 또는 5백원을 내야하는등 손해를 보고있다.
이에대해 서울시는 지하철 회수권처럼 10장을 살때 1장의 보너스를 주는 방안을 조합측에 계속 권유하고 있으나 조합측이 듣지않아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고 말하고있다.
서울시는 이와함께 5장을 살때 할인해주는 문제, 낱장으로 파는 문제도 조합측과 협의하고 있으나 아직 결말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밝히고 10장에 1장의 보너스를 주는것이 다소 업체로서 무리라고 하더라도 시민의 편의를 위해 받아들일 수 있는 범위라고 주장했다.
이에대해 버스조합측은『회수권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잇점을 주는것은 원칙적으로 찬성하지만 20장에 1장을 더 줄경우에도 4.8%의 손해를 보는데 10장에 1장을 얹어주게되면 9.6%의 손해를 보게돼 적자운영을 면할길이 없다』고 맞서고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