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톨이 삶의 만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겨레의 명절 추석을 보내며 새삼 아름다운 우리 풍속의 의미를 되새기게 된다.
1천여년전 신라시대부터 추석은 겨레의 명절로 내려왔으나 추석이 담고 있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라는 사상은 지금 우리에게 더 절실해지는 것이다.
농경을 주로 하던 우리 민족에게 있어 오곡백과가 무르익는 가을은 가장 아름다운 계절이었다.
한 여름의 노고가 마침내 풍성한 결실로 수확되는 시기를 맞아 우리의 조상들이 감사와 기쁨으로 충만했을 것은 지금도 넉넉히 짐작된다.
게다가 계절은 특히 덥지도 춥지도 않은 가을. 만월의 밝음과 풍요는 인간의 삶을 축복하는 절호의 시기를 마련한 셈이다.
그런 축복이 단지 개인의 혼으로 영위될 수 없다는 것을 우리 선조들은 잘 알았던 것 같다.
하늘과 조상의 존재를 확인하며 그 은덕에 감사하는 마음가짐이 이때 특히 강조되었던 것은 그것을 뜻한다.
햇곡식과 과일로 조상에 천신하며 가족과 친지와 더불어 화목과 우의를 다지는 절차들은 그 뜻을 확인하는 것이다.
하늘과 자연에 대한 감사 속에 가족의 유대를 다지는 전통의례가 명절의 의미를 더욱 값지게 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비록 지난번 홍수의 피해는 극심해서 전답을 망치고 가재를 수몰시킨 이가 수십만에 이르고 있으나 더 이상의 불행이 멎은 것을 다행으로 생각하는 감사의 정신은 아마도 더 중요할 것이다.
이 추석 명절에는 특히 수재의 참상을 체험하고 나서 가족과 이웃의 인정이 세상을 사는데 무엇보다 큰 힘이요, 의지가 된다는 것도 절실해질 것 같다.
흩어졌던 가족들은 귀성열차를 타고라도 한데 모여 차례를 올리고 성묘도 하는 가운데 혈내의 아픈 상처를 어루만질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명절의 아름다움은 더 빛날 것이다.
그 때문에 전통 명절은 단지 먹고 마시고 노는 의미의 축제만이 아니라 인간가족의 의미를 실습하는 생생한 교육의 현장이다.
자기만이 외톨로 살아간다는 현대인의 삭막한 정신세계는 우리 전통명절의 충만한 공생 축제정신 속에서 융해되지 않을 수 없다.
전통 가족제도의 붕괴 속에서 흔히 메마르기 쉬웠던 따뜻한 인정의 샘물도 이 명절을 기해 새로 촉촉하게 적셔질수 있으리란 기대다.
핵가족 제도로 따로 따로 살면서 단절되었던 혈연의 사랑도 이 명절의 만남 속에서 다시 이어지고 뜨겁게 피어날 것도 같다.
이처럼 명절은 우리에게 절실한 생활절차로 존재하는 것이다. 흩어짐과 모임 속에서 우리는 삵의 어려움과 기쁨을 함께 느끼고 풀어주는 성스러운 의식을 행한다.
다만 즐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아픔과 괴로움도 서로 어루만지면서 살아가는 지혜는 아름답다.
명절에 만나는 인정들이 하늘과 인간에 대한 감사 속에서 내일의 좋은 사회 건설에도 힘을 모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