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서 '청동 유물' 발굴…"국내 최대 수준" 구석기 유물까지? '깜짝'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충주서 청동 유물 발굴’ ‘충주 청동 유물’. [사진 문화재청]

충주서 청동 유물 발굴이 화제다.
 
충주 청동 유물이 발굴됐다. 유구와 유물들은 충주를 포함한 중부 내륙지역의 문화상을 밝혀주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충청북도 충주시 종합스포츠타운 조성사업 부지 내 유적에서 지난해 8월부터 진행된 발굴조사 결과 구석기 유물포함층을 비롯하여 초기 철기시대와 통일신라∼조선시대 무덤, 숯가마 등을 발견했다고 19일 전했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초기 철기시대 무덤은 돌무지나무널무덤 1기와 나무널무덤 2기 등 총 3기다. 그 중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상·하 2단으로 굴착하여 묘광(墓壙, 관을 넣기 위해 판 구덩이)을 만들었으며 하단의 묘광에는 통나무관을 놓고 묘광 상부까지 강돌[川石]로 내부를 완전히 채웠다.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지하에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파고 나무관을 놓은 후 그 위를 돌로 채운 무덤 양식을 의미한다.

돌무지나무널무덤에서는 세형동검 7점, 청동 잔줄무늬거울 1점, 청동 투겁창 3점, 청동 꺽창 1점, 청동 도끼 1점, 청동 새기개 4점, 청동 끌 2점 등의 청동유물 19점과 검은 간토기가 출토됐다. 청동 투겁창은 나무 자루를 끼우는 청동 창이며 청동 꺽창은 나무 자루를 묶어서 연결하는 청동 창이다. 청동 새기개는 끌의 한 종류인데 앞쪽이 뾰족하여 새기개로 주로 사용된다.

발굴조사단은 이번에 발굴된 무덤을 기원전 2~1세기경, 충주를 중심으로 형성된 강력한 세력의 수장의 묘로 보고 있다.

지금까지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주로 전라남도나 충청남도 지역에서 확인돼왔다. 이에 비해 이번에 조사된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충청북도에서 확인된 드문 사례다. 또 고분 구조가 온전히 남아 있는 예가 거의 없었는데 이번에 조사된 무덤은 유구 잔존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무덤의 축조방식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등 7종 19점에 달하는 청동유물은 그 수량과 종류에서 볼 때 국내 최대 수준에 속한다. 앞서 1971년 전라남도 화순군 대곡리에서는 이번에 출토된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청동 새기개와 더불어 청동 방울 등이 함께 발견돼 1972년 국보 제143호로 일괄 지정된 바 있다.

한편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재)중원문화재연구원(원장 강경숙)에서 발굴조사 중인 충청북도 충주시 종합스포츠타운 조성사업 부지 내 유적에 대한 현장설명회는 19일 오전 11시에 개최된 바 있다. 20일 오후 2시에는 일반인에게 발굴현장이 공개돼 누구나 발굴성과를 확인해볼 수 있다.

온라인 중앙일보
‘충주서 청동 유물 발굴’ ‘충주 청동 유물’. [사진 문화재청]

‘충주서 청동 유물 발굴’ ‘충주 청동 유물’ ‘충주서 청동 유물 발굴’ ‘충주 청동 유물’ ‘충주서 청동 유물 발굴’ ‘충주 청동 유물’.

‘충주서 청동 유물 발굴’ ‘충주 청동 유물’ ‘충주서 청동 유물 발굴’ ‘충주 청동 유물’ ‘충주서 청동 유물 발굴’ ‘충주 청동 유물’.

ADVERTISEMENT
ADVERTISEMENT